옹기

옹기

분류 정치/경제/생업 > 디지털리소스실 > 거래/물품 > 거래물품 3D
옹기 본문 이미지 1

원천자료

옹기 본문 이미지 2

고증자료

• 명 칭 : 옹기
• 시 대 : 조선 후기(19세기)
• 설 명 : 질그릇과 오지그릇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전통적으로 한국인은 옹기를 조미료와 주식 부식물의 저장용구, 주류 발효 도구, 음료수 저장 용구 등으로 사용하였다. 삼국시대부터 만든 옹기는 세계에서 한민족만이 가지는 독특한 음식 저장용기이다. 옹기점의 시설로서는 토기제작장과 요성장(窯成場)이 있는데, 토기제작장에서는 날그릇을 주로 다루고, 요성장에서는 날그릇을 구워 완전한 그릇을 만들어낸다.

옹기는 청동기시대 무늬 없는 토기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무늬 없는 토기는 모래가 많이 섞인 만큼 단단하여 실용적이였다. 또한, 홍도와 흑도가 만들어 졌는데, 모래가 섞이지 않고, 제작이 까다로우며, 수량도 적어 의식용이나, 제례, 부장품 등의 특수한 목적으로 쓰였다 청동기시대의 빗살무늬 토기와 민무늬 토기는 지금 사용하는 옹기의 근원이라 할 수 있다.

삼국시대에는 국가 별로 약간 다른 특색을 지니고 있었다. 고구려는 황갈색이나 검은색이 전형적이었고 문양이 거의 없었다, 백제는 다른 나라보다 먼저 기술을 습득하여 경질토기에 녹갈색의 유약을 입혀 녹유기를 만들었다. 신라는 회청색 경질토기와 적갈색 연질토기가 주종을 이룬다. 또한 신라에서는 토우라는 특징적인 예술품이 제작되었다.

『경국대전』, 『동국여지승람』, 『세종실록』 지리지 등을 보면 도기소와 옹장에 대해 기록이 나온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옹기는 조선시대에 사용된 옹기가 이어져 온 것이다.

※ 자료참조 : 시장 촬영

3D

출처: 문화원형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