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걸이

귀걸이

분류 정치/경제/생업 > 디지털리소스실 > 거래/물품 > 거래물품 3D
귀걸이 본문 이미지 1

원천자료

귀걸이 본문 이미지 2

고증자료

• 명 칭 : 귀걸이
• 시 대 : 조선 후기(19세기)
• 설 명 : 귀에 거는 장신구.
귀걸이는 귓바퀴에 걸거나 귓불을 뚫어 착용한 장신구(裝身具)이다. 귀걸이는 사람의 몸을 치장하는 장신구 중 가장 일찍부터 사용된 것이다. 북방 유목기마민족들 사이에서는 샤먼적 의미를 지닌 종교적 장신구의 하나로 일찍부터 애용되어 왔고 고분출토품에 다양한 귀걸이의 형태가 보이고 있다. 출토된 귀걸이는 귀에 다는 고리[環]와 샛장식[中間式], 드리개[垂飾]의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리의 굵기에 따라 세환식(細環式)과 태환식(太環式)으로 나뉘는데 그 가공기술이 매우 정교하였다.

귀걸이는 여자뿐만 아니라 남자도 사용하였는데 나이가 어릴 때 귀를 뚫어 귀걸이를 해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풍속은 오랑캐의 풍속이라 하여 일면 배격을 받으면서도 고려를 거쳐 조선조에까지 그대로 이어져 내려왔다. 그러나 점차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귓불을 뚫는 귀걸이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고 붉은 실에 귀걸이를 고정하여 귓바퀴에 거는 형태가 많이 등장하였으나, 일부 지방에서는 여자들의 귓불을 뚫는 풍속이 존속하였다.

조선시대 귀걸이는 보통 은으로 고리를 만든 후, 금파(金波)·파란 등으로 장식한 천도(天桃)를 달았다. 크고 둥근 고리 끝에 천도를 매달은 형, C형의 고리에 천도와 봉술을 함께 부착한 형, 술실을 머리 딴 것 같이 엮어 귀에 걸만큼 길이를 고정시키고 밑은 그대로 탐스럽게 풀어놓은 형 등 종류가 다양하였다. 귀걸이 술은 대개 정장을 했을 때 어깨 위로 댕기같이 늘어뜨려서 화려한 장식품 역할을 했다. 구한말까지 혼례식 때에 신부가 화려한 머리장식을 하고 혼례복 위로 귀걸이술을 내려뜨렸다고 한다.

※ 자료참조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3D

출처: 문화원형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