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

인삼

분류 정치/경제/생업 > 디지털리소스실 > 거래/물품 > 거래물품 3D
인삼 본문 이미지 1

원천자료

인삼 본문 이미지 2

고증자료

• 명 칭 : 인삼
• 시 대 : 조선 후기(19세기)
• 설 명 :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 여러해살이 풀.
고려인삼의 본고장으로 자처하는 한국은 원래 자원이 풍부하지 못하며 경제생활이 빈곤할 뿐만 아니라 귀족계급과 서민으로 나뉘어 모든 문화생활은 귀족들의 점유물이었고 일반 백성의 의약사상은 매우 뒤떨어졌다. 의술도 중국의 고의서(古義書)를 통해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다는 안이한 상태였다.

인삼약용은 인삼의 본고장이었으므로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되었어야 하지만 일반 백성은 그 혜택은 커녕 도리어 그 징수와 주구(誅求)로 인하여 큰 고통을 당하기만 하였다. 고구려·백제·신라에서는 당시 풍부하게 인삼이 산출되었고 『백제신집방(百濟新集方)』, 『신라법사방(新羅法師方)』이라는 처방서도 있었다고 한다. 고려 초기에는 전의시(典醫寺)라는 관청을 두었고 고려 목종(穆宗) 대를 전후하여 많은 의서들이 출간되었다.

한편, 조선 초기에도 의학은 크게 진흥을 보지 못하였으나 세종(世宗) 이후에는 문운이 점차 융성해지고 의학문화도 향상되어 갔다.

그리하여 의학관계 서적도 저술되었는데, 그 중 대저(大著)는 『향약집성방』과 『동의보감』이다. 인삼의 인공재배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모두 자연생으로서 그 가격이 매우 고가였기 때문에 상류층에서만 사용되었고 일반 서민은 엄두도 내지 못하였던 것이 인삼의 인공재배가 창시된 이후 그 산출이 증가되고 가격도 저하됨에 따라 서민들도 이용하게 되었다.

※ 자료참조 : 시장 촬영

3D

출처: 문화원형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