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레빗

얼레빗

분류 정치/경제/생업 > 디지털리소스실 > 거래/물품 > 거래물품 3D
얼레빗 본문 이미지 1

원천자료

얼레빗 본문 이미지 2

고증자료

• 명 칭 : 얼레빗
• 시 대 : 조선 후기(19세기)
• 설 명 : 빗살이 굵고 성긴 반원형의 큰 빗.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에는 거북껍데기, 상아, 뿔, 은, 굵은 털 등으로 작게 만들어 무늬를 새기거나 주칠을 하여 머리에 장식으로 꽂기도 하였다.

생김새가 반달 모양이라 월소(月梳)라고도 한다. 크기가 다양하며 빗살도 성긴 것과 촘촘한 것이 있는데 빗살이 촘촘하고 작은 것은 참빗이라 하여 얼레빗과는 구분하여 부른다. 긴 머리를 손질하기에 특히 좋으며 크기가 작은 것은 마무리 손질 때나 휴대용으로 이용되었다. 나무로 만든 것이 대부분이며 박달나무, 대나무, 소나무, 대추나무 등이 많이 사용된다.

특히 제주도의 해송은 병을 고쳐주고 귀신을 쫓는다 하여 이것으로 만든 얼레빗이 인기가 있다. 빗의 종류에는 얼레빗, 참빗, 면빗 등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용도나 크기, 모양이 달랐다. 옛날 여인들은 긴 머리채를 얼레빗으로 대강 빗은 다음 참빗으로 정성을 다하여 빗어 내렸고, 곱게 땋아 쪽을 진 다음에는 면빗으로 살쩍(뺨 위나 귀 밑에 난 가늘고 고운 머리털)을 빗 어 넘겨 조금도 흐트러짐이 없는 단정한 모습을 하였다.

이렇듯 우리나라 사람들은 단정한 차림을 중시하여 매일 아침의 첫 일과는 빗질로 머리카락 을 청결히 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빗질은 건강을 유지하는 수단이라 하여, 하루에 50-100회 정도의 빗질을 했다. 다만 상중(喪中)에는 빗질을 하지 않았는데, 망자에 대한 죄 의식 때문이었다.

이처럼 빗은 그 쓰임새 만큼이나 빗을 아름답게 만들고자 했던 마음씀은 한결같아, 손잡이에 상아나 쇠뼈로 무늬를 넣기도 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빗 가운데서도 참빗은 그 촘촘하고 정교함이 세계의 어디에서 만들어진 빗과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뛰어났다.

※ 자료참조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3D

출처: 문화원형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