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화(나막신)

목화(나막신)

분류 정치/경제/생업 > 디지털리소스실 > 거래/물품 > 거래물품 3D
목화(나막신) 본문 이미지 1

원천자료

목화(나막신) 본문 이미지 2

고증자료

• 명 칭 : 목화(나막신)
• 시 대 : 조선 후기(19세기)
• 설 명 : 나막신은 나무를 파서 만든 신이다.
한자로 극, 목리(木履), 목극, 목혜(木鞋)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신발의 종류는 형태에 따라 크게 운두가 낮은 신인 이(履)와 발목 위까지 올라오는 화(靴), 용도에 따라 마른신과 진신으로 나눈다. 그리고 재료에 따라 가죽으로 만든 신은 피혜(皮鞋), 나무로 만든 것을 나막신, 종이로 만든 것을 지혜(紙鞋) 등으로 구분하였다. 비오는 날에는 나막신을 신거나, 가죽을 기름에 절이고 바닥에 징을 박은 진신을 신었다. 그러나 어린 남자아이가 신던 채극은 나막신에 색을 칠한 것으로 진신 뿐 아니라 마른신으로도 많이 신었다. 나막신은 주로 오동나무와 버드나무 같이 단단하고 가벼운 것으로 만들었으며 방수를 위하여 밀랍을 칠하기도 하였다.

나막신은 신분이나 나이에 구별 없이 널리 신었는데 무겁고 비활동적이어서 먼길을 갈 때나 말을 탈때는 신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나막신은 걷는 태도가 오만하고 불순하다고 하여 천민이나 연소자는어른 앞에서는 신지 못하게 하였다. 나막신은 본래 진흙땅을 밟기 위한 것으로 굽이 있는 것이 특징인데 굽이 없는 것도 있었다. 대개는 굽이 앞뒤로 달려있는데 남성용은 앞뒤 굽이 뚜렷이 구별되어 있고 여성용은 인(人)자형으로 벌어져 있다. 특히 여성용의 나막신은 코끝이 날카롭고 매끈하게 되어 있다.

※ 자료참조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3D

출처: 문화원형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