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당

도당

[ 都堂 ]

시대명 고려

고려 후기 최고 정무기관.

고려 후기 재추(宰樞, 재신(宰臣)과 추신(樞臣)의 통칭)의 합의기관인 동시에 백관을 거느리고 일반사무를 관장하던 최고 정무기관이었다. 도당이란 명칭은 고려 전기 변경의 군사문제를 논의하던 임시 회의기관 (都兵馬使)가 고종 말년 그 구성과 기능이 확대됨에 따라 붙여진 이름으로, 1279년(충렬왕 5) (都評議使司)로 개편되면서 최고 정무기관으로 기능이 확대, 도당이란 용어의 사용이 본격화되었다. 도평의사사는 정사를 의논하는 의정기관으로서, 도당회의에는 첨의·밀직(전기의 재신·추신) 전원과 함께 (三司)의 정원(正員) 및 상의(商議)까지 합쳐서 구성원이 7, 80명에 이를 정도로 늘어났다. 또한 전기와는 달리 임시기관이 아닌 상설기관으로서, 동시에 행정기관으로 되어 이전에 다루던 군사문제뿐 아니라 전제(田制)·녹봉(祿俸)·형옥(刑獄)·전주(銓注)·대외관계 등 국정의 전반을 총괄하는 기구가 되었다.

따라서 고려 후기에는 도당 중심의 정치체제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이를 장악한 의 권력 핵심기구가 되기도 했다. 이후 의 관제개편 때도 개혁되지 않고, 조선 초기 태종의 왕권강화책에 의해 로의 개편이 이루어질 때까지 권신들의 권력기관으로 계속 존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