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무선

최무선

[ 崔茂宣 ]

시대 고려
출생 - 사망 1325년(충숙왕 12년) ~ 1395년(태조 4년)
본관 영주(永州, 영천(永川))
직업 화약(火藥)발명가

고려 말 화약(火藥)발명가. 본관은 영주(永州, 지금의 영천(永川)). 아버지는 광흥창사(廣興倉使) 동순(東洵).

우리나라에서 화약을 이용한 무기를 처음으로 만들어 사용했다. 본래 기술에 밝고 병법(兵法)을 좋아했으며, 당시 날로 심해지는 왜구의 침입을 막는 데는 화약사용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해 제조법 연구에 골몰했다. 우리나라에는 늦어도 14세기 전반, 즉 공민왕 초까지는 이미 화약과 화포(火砲)가 전래되어 있었다. 하지만 화기(火器)의 발달에서 문제는 화기보다 화약이었고 그중에서도 염초(焰硝)를 얻는 것이 가장 어려운 문제였는데, 원나라나 명나라가 그 제조법을 비밀에 부쳤기 때문에 고려에는 아는 사람이 없었다. 이에 그는 중국상인들의 왕래가 잦은 무역항 에 가서 중국에서 오는 상인들을 만나 이를 묻던 중, 강남(江南)의 상인 이원(李元)으로부터 염초자취법(煮取法)을 배울 수 있었다. 일설에는 최무선이 원나라에 가서 배워왔다고도 한다. 이렇듯 많은 노력 끝에 화약의 주원료인 염초 만들기에 성공한 그는 조정에 여러 번 건의해, 마침내 1377년(우왕 3) 화통도감(火筒都監)이 설치, 그 제조(提調)가 되어 화약뿐 아니라 총포화기와 전함(戰艦)을 만들었다. 또 화기발사 전문부대인 화통방사군(火筒放射軍)이 편성되었다.

1380년, 왜선 5백여 척이 전라도 진포(鎭浦, 서천(舒川)~금강(錦江) 어구)에서 인근 지방으로 올라가 약탈을 일삼자 부원수(副元首)에 임명되어, 도원수 심덕부(沈德符)·상원수 나세(羅世)와 함께 전함을 이끌고 가서 처음으로 화통·화포 등을 사용해 왜선을 모두 태워버렸고, 1383년(우왕 9)에는 남해 관음포(觀音浦)에 침입한 왜구도 화기를 사용해 물리쳤다. 이때 입은 타격이 매우 커서 이후 왜구의 침입이 수그러들기 시작했을 정도였다.

그러나 1389년(창왕 1) (趙逡) 등의 주창으로 화통도감은 폐지되어 (軍器寺)에 합병되었다. 최무선은 조선건국 후에 실직을 받지 못하고 검교직을 받는 등 그다지 크게 평가받지 못하다가, 죽은 뒤에 우정승(議政府右政丞), 영성부원군(永城府院君)에 추증되었다. 화통도감이 없어진 후 집에서 을 저술했다고 하나 전하지는 않는다. 태종 때 그의 기술을 이은 아들 해산(海山)이 등용되면서 다시 화기의 발달이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