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사대부

신진사대부

[ 新進士大夫 ]

시대명 고려

고려 후기 정치지배세력의 하나.

「사」는 독서인을 말하며 「대부」는 정치인을 말하는 것으로, 사대부란 학자적 관료 또는 관료적 학자를 일컫는다. 이들이 등장하게 되는 것은 무신집권기였다. 정권을 잡은 무신들은 문신을 몰아낸 뒤 그 행정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지방의 행정을 담당했던 토착세력을 등용했고, 이에 그 상층부였던 향리층이 를 통해 상당수 중앙으로 진출, 「능문능리」의 새로운 관인층을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는 무신정권에 의탁한 진출이었기 때문에 독자적 정치세력을 이루지 못했고, 일부는 원 간섭기에 으로 성장하기도 했다. 무신정권이 무너지고 원간섭기에 들면서 신진세력은 원나라를 통해 주자학을 도입하고 을 중심으로 이를 연구, 보급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다가 ·충목왕· 등이 당시 지배세력이었던 권문세족을 누르고 개혁을 시도할 때 그 측근세력으로 개혁에 참여하면서, 권문세족과 대립되는 하나의 정치세력으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권문세족에 의해 개혁이 저지되어 많은 탄압을 받기도 했지만, 특히 공민왕의 개혁 때 형성된 개혁세력은 조선건국세력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들은 지방의 중소지주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농장을 확대해가는 권문세족과는 이해관계가 대립되었다. 또 권문세족이 부재지주였던 데 비해 자신의 토지를 직접 경영했기 때문에 생산력 향상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이는 고려 말 중국의 강남농법의 도입으로 농업기술의 급진적 발전을 가져온 것과도 연관된다.

이러한 신진사대부가 권문세족을 비판하고 개혁을 주장하는 데 이론적 무기로 사용한 것은 이었다. 이때 수용된 성리학은 원나라에서 한차례 여과된 것으로 실천윤리를 강조하는 입장이었고, 이를 받아들인 신진사대부들은 실천윤리를 중심으로 의리론·명분론을 중시하게 되었다. 이에 입각해 가장 먼저 공격했던 것은 불교의 비현실성과 승려들의 무위도식이었는데, 불교에 대한 공격은 불교와 일체가 되는 당시 권문세족에 대한 투쟁을 의미한다. 이렇게 당시 지배세력이었던 권문세족과는 사회적·경제적·사상적 입장을 달리했고, 고려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권문세족의 기반인 정치 및 토지의 개혁이 필요함을 주장했다. 1388년(우왕 14) 이후 정치의 주도권을 잡게 되자 본격적인 개혁작업에 착수하는데, 가장 핵심이 되는 문제는 사전(私田)의 개혁과 새 왕조의 수립이었다. 이를 둘러싸고 와 로 나뉘며, 급진개혁파가 사전의 개혁을 강력히 추진, 을 마련하고 조선건국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성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