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

최영

[ 崔瑩 ]

시대 고려
출생 - 사망 1316년(축숭왕 3년) ~ 1388년(우왕 14년)
본관 창원(昌原)
직업 재상, 명장

고려의 재상이며 명장. 본관은 창원(昌原). 평장사(平章事) 유청(惟淸)의 5대손.

양광도도순문사(楊廣道都巡問使) 휘하에서 왜구를 토벌한 공으로 우달치(于達赤)가 되었다. 1352년(공민왕 1), 안우(安祐)·최원(崔源) 등과 함께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평정해 호군(護軍)이 되었고, 1354년에 대호군이 되었다. 이때 원나라에서 장사성(張士誠)·주원장(朱元璋) 등 한인(漢人)들의 반란이 일어나 유탁(柳濯)·염제신(廉悌臣) 등 40여 명의 장수와 함께 군사 2천여 명을 거느리고 원나라에 가서 공을 세우고 이듬해에 돌아왔다. 이 기회를 통해 원나라의 쇠퇴 상황을 직접 확인한 고려는 1356년부터 반원(反元) 개혁정치를 추진했는데, 최영은 서북면 부병마사(西北面副兵馬使)가 되어 병마사 인당(印璫)과 압록강 서쪽의 8참(站)을 공격하여 파사부(婆娑府, 지금의 구련성(九連城)) 등 3참을 쳐부수었다.

1359년 홍건적 4만여 명이 침입해 서경을 함락하자 이방실(李芳實)·안우(安右)·김득배(金得培) 등과 함께 무찔러 서경을 되찾는 등 큰 승리를 거두었다. 1361년 다시 홍건적 10만여 명이 침입해 개경을 점령하자, 이듬해 정세운(鄭世雲)·안우·이방실·이성계 등과 함께 이를 물리쳐 개경을 수복했다. 그 공으로 훈1등에 도형벽상공신(圖形壁上功臣)이 되었고 전리판서(典理判書)에 올랐다. 개혁정치 과정에서 다소 소외되었던 무장세력은 두 차례의 홍건적 침입을 물리치며 다시 실세로 등장할 수 있었고, 특히 최영은 이후 공민왕의 위기를 구해 줌으로써 그 지위를 확고히 잡아갔다. 1363년 공민왕을 죽이려 했던 흥왕사의 변(김용(金鏞)의 난)을 평정하여 진충분의좌명공신(盡忠奮義佐命功臣)이 되었으며, 1364년 원나라가 충선왕의 셋째 아들 덕흥군(德興君)을 왕으로 삼으려고 군사 1만 명과 함께 보냈을 때 서북면 도순문사로 이성계 등과 함께 싸워 물리쳤다.

한때 신돈에 의해 계림윤(鷄林尹)으로 좌천되어 귀양을 갔으나, 1371년 신돈이 처형되자 곧 풀려났으며, 우왕 때에는 극심했던 왜구의 침입을 막는 데 크게 공헌하며 부상했다. 1388년, 문하시중이 되어 왕의 밀령으로 당시의 권신 염흥방(廉興邦)·임견미(林堅味) 일당을 숙청했고, 그해 그의 딸을 왕비(영비(寧妃))로 삼아 확고한 지위를 구축했다. 이때 명나라가 철령위를 설치하여 그 이북을 요동(遼東)에 귀속시키려 하자, 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요동정벌을 강행했는데, 자신은 8도도통사(八道都統使)가 되어 왕과 함께 서경에 가서 군사를 독려하고, 조민수(曺敏修)를 좌군도통사로, 이성계를 우군도통사로 삼아 5만여 대군을 이끌고 출정하게 했다. 그러나 조민수를 설득하여 압록강 가운데의 위화도에서 군사를 돌이켜 개경에 돌아온 이성계에게 잡혀 고향인 고봉현(高峰縣, 지금의 고양(高陽))으로 귀양을 갔으며, 얼마 후 충주로 옮겨진 뒤 죽음을 당했다.

그 후 이성계는 새 왕조를 세운 후 6년 만에 무민(武愍)이라는 시호를 내려 그의 넋을 위로했다. 개풍군(開豊郡) 덕물산(德物山)에 있는 적분(赤墳)이 그의 무덤으로 풀이 나지 않는다고 하며, 그 산 위에 장군당이 있어 무당들의 숭배의 대상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