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

이황

[ 李滉 ]

시대 조선
출생 - 사망 1501년(연산군 7년) ~ 1570년(선조 4년)
본관 진보(眞寶)
이명 : 경호(景浩)
: 퇴계(退溪), 퇴도(退陶), 도수(陶叟)
이칭 : 도옹(陶翁)
직업 문신, 학자

조선 중기 문신이며 학자.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퇴도(退陶)·도수(陶叟), 본관은 진보, 경상도 예안(지금의 경북 안동군 도산면) 출신.

1527년 성균관에 들어갔고, 34년 문과에 급제하면서 관직을 시작했다. 중종 말년 조정이 어지러워지자 성묘를 핑계삼아 고향으로 돌아갔으며, 을사사화(1545년) 후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인 낙동강 상류 토계(兎溪)에 거처를 마련했다. 이때 토계를 퇴계(退溪)로 고쳐 자신의 아호로 삼았다. 그러나 계속해서 관직에 임명되자 외직을 지망하여 풍기군수가 되었다. 전임군수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서원에 편액·서적·토지 등을 줄 것을 조정에 요구하여, 첫 사액서원소수서원을 만들었다. 60년 도산서당을 짓고 아호를 도옹(陶翁)이라 정하고, 7년 동안 여기에서 독서·수양·저술에 전념하며 많은 제자를 길렀다. 명종이 죽고 나이 어린 선조가 왕위에 오르자, 성학십도>를 바쳤다.

이황의 학문이 원숙해진 것은 50살 이후로 보는데, 그가 43살 때 <주자대전>을 입수, 풍기군수를 사퇴한 49살 이후 이를 연구하여 그의 주자학을 한결 깊이 있게 했다. 이후 그의 학문은 영남을 배경으로 한 주리적인 퇴계학파를 형성했는데, 당대의 유성룡·정구(鄭逑)·김성일·조목(趙穆)·기대승·이산해(李山海)·정탁(鄭琢) 등 260여 명이 그 학풍을 따랐고, 뒤를 이어 성혼·이익(李瀷)·이항로(李恒老)·기정진(奇正鎭) 등이 주리파를 이루었다.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후 그의 문집이 일본으로 건너가 도쿠가와(德川家康)가 집정한 에도(江戶)시대 이래 일본유학의 주류인 기몬(崎門)학파 및 구마모토(熊本)학파에 깊은 영향을 끼쳤으며, 이황은 이 두 학파로부터 대대로 존숭받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