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야유적

조선향토대백과 유물유적정보관 : 유적

금야유적

[ 金野遺蹟 ]

분류 유물유적정보관>유적>주거 · 생산>주거유적
유물유적시대 청동기
행정구역 함경남도>금야군
등급 일반유물유적

함경남도 금야군 금야읍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적. 금야유적은 1964년에 발굴조사 정리되었는데, 현재 남아 있는 범위는 길이 350m, 너비 15m 정도이다. 여기서는 돌도끼, 돌검, 돌살촉, 반달칼 등 석기류와 함께 비파형창끝, 부채형달도끼, 방울 등 형타(型打)가 새겨져있는 곱돌로 만든 거푸집이 수집되었다. 또한 10개의 집터가 알려졌는데, 그중 일부 집터들은 거의 인접되어 있거나 겹놓여 있었다. 이것은 집터들이 병존된 것이 아님을 말해준다.

집터에서 발굴된 유물갖춤새는 크게 차이가 없다. 비교적 잘 남아 있는 10호집터는 길이 약 10m, 너비 약 7m, 깊이 0.35m 정도였다. 집터 동북쪽 모서리에 밖으로 네모나게 돌출한 출입구가 있었고 그로부터 방안으로 얼마간 들어선 곳에 바닥을 네모지게 판 화덕자리가 있었다. 다진 진흙바닥에는 기둥구멍은 없었으나 기둥과 도리, 용마루대, 서까래 등 건축재목이 탄 숯무지와 재무지가 있었고 질그릇 조각들과 약간의 석기류가 있었다.

여러 집터에서 그릇벽이 두껍고 모래가 많이 섞인 갈색민무늬토기와 바탕흙이 보드라운 검정간석기 등 질그릇이 출토되었다. 그릇종류에는 바리와 보시기, 굽다리접시 등이 있다. 그릇겉면에는 질그릇을 구워낸 다음 끝이 예리한 무늬돋치개를 그어서 새긴 여러 가지 기하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집터들에서는 활촉, 도끼, 오목자귀, 단검, 반달칼, 가락고동, 마치, 검자루대가리돌 등 석기류와 도끼형타가 새겨진 곱돌거푸집조각이 나왔다. 금야유적의 유물갖춤새는 북쪽으로 동해 연안을 따라 함경북도 어랑천유역, 남쪽으로 강원도지역, 내륙쪽으로 양강도 허천강유역에 분포되어 있다.

금야유적의 집터에서 청동도끼를 주조하는 데 쓰인 곱돌거푸집과 검자루대가리돌 그리고 비파형창끝, 부채형날도끼, 방울 등을 주조하는 데 쓰인 곱돌거푸집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청동기시대문화유적으로 인정된다. 금야유적의 유물갖춤새는 함경남도 북청군 중리, 토성리유적들에서 발굴된 유물들과 공통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들은 하나의 문화유형을 이룬다. 금야유적은 북한 청동기시대 문화연구에서 중요한 자료로 된다.

마지막 수정일

  • 2010. 12. 31.

【유의 사항】

  • ⓘ 본 콘텐츠는 1999~2005년 남북공동 편찬사업에 의해 발간된 자료로서,
    북한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북한 자료의 특수성으로 내용의 최신성이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점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연관목차

조선향토대백과 유물유적정보관 : 유적 202/1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