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불사를 친견하고 상사뱀이 떨어진 원나라 공주

가사불사를 친견하고 상사뱀이 떨어진 원나라 공주

분류 문학 > 불교설화모음 > 기이설화

• 주제 : 기이
• 국가 : 한국
• 시대 : 고려
• 지역 : 강원도
• 참고문헌 : 한국사찰사료집

중국 원순제의 딸은 매우 아름다운 미인으로 평판 높은 공주였다.
그러므로 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이나 미관말직에 있는 사람이나 모두 그를 보고 연정을 품지 않은 자가 없었다.
그런데 하루는 어떤 한 관리가 궁전을 거니는 꽃 같은 공주를 보고 홀로 짝사랑을 하다가 상사병에 걸리게 되었다.
아무리 약을 쓰고 침을 맞고, 중을 하여도 한갖 수고로움만 더할 뿐 병은 낫지 않았다.
「어머니 나 공주 좀 보게 해 주세요. 공주가 아니면 나는 죽습니다. 어머니 -」
하고 애원하였으나 언감생심 말도 낼 수 없는 처지라서,
「나라에서 이 소식을 들으면 5족을 멸할 거야- 감히 그런 생각일랑 갖지 말고 다른 사람에게 장가들라.」
그러나 그 고집 많은 청년은 끝내 듣지 않고 죽었다. 그는 죽으면서 맹세했다.
「내가 이 세상에서 이루지 못한 사랑이니 죽어서라도 몸을 바꾸어 그를 사랑하리라.」
이렇게 맹세하고 죽은 그 젊은 관리는 죽어서 상사뱀이 되었다.
하루는 공주가 낮잠을 자고 났는데 아랫도리가 이상해서 만져보니 난 데 없는 뱀이 몸을 칭칭 감고 있었다. 기겁을 한 공주는 황후에게 알리었다.
황후는 몰래 사람을 사 그것을 떼어 버리기도 하고 또 떼어다 죽여 버리기도 하였건만 그것은 종내 소용이 없었다.
머리는 배꼽 밑에 대고 꼬리는 하체에 붙어 잠시도 떨어지질 않았다.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던 공주는 마침내 집을 버리고 길거리로 뛰쳐나왔다.
차라리 세상 구경이나 하고 산천경계나 자유롭게 구경하다 죽고 싶었기 때문이다.
거지복색을 하고 이 산 저 산 명산대천을 찾아다니다가 이름 없는 사람들에게 봉변도 당하고 겁탈도 당했다.
그러나 그 때마다 사람들은 그의 몸 가운데 감겨 있는 뱀을 보고 질겁을하고 도망쳤다.
황하 양자를 몇 번씩이나 건너고 중원제국을 다 돌았으나 그를 치료하여 공주를 살려줄 사람은 한 사람도 없었다.
그는 어쩌다 금강산 생각이 났다.
기암절벽이 만불산(萬佛山)을 이루고 4계의 산색이 각기 달라 가히 천하 명산이라 알려진 금강산, 한번 보고 싶었다. 그리하여 그는 배를 타고 고려국으로 건너왔다.
그런데 어쩌다 길을 잘못 들어 영동에서 배를 내리기는 하였으나 영서로 빠져 춘천 땅에 이르고 말았다. 춘천에서 들으니 청평천(淸平川) 건너 청평사(淸平寺)가 유명했다.
이왕에 온 것이니 절 구경이나 하고 가자하고 그 여인은 할을 옮겨 청평천을 건너려 하였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몸속에 감겨진 상사뱀이 요동을 하면서 가려 하지 않았다.
참으로 이상했다.
전후 십여성상을 그와 함께 다녀도 그런 일이 없었는데 오늘만은 유독 발광을 하였다 공주는 말했다. 「내가 너와 상종한 지 십년, 내가 두어번 너를 떼어본 뒤로는 한번도 너의 마음을 거슬려 본 일이 없다. 그런데 너는 어찌하여 내가 좋아하는 절 구경을 하지 못하게 하느냐?
만일 싫거든 잠깐만 여기에 떨어져 있거라.
그러면 내가 속히 절 구경을 하고 돌아와 너와 함께 가리라」뱀은 그 말을 듣고 곧 풀려 나와 넓은 바위 아래 또래를 틀고 않았다. 십년 만에 처음 홀몸이 된 공주는 하늘을 나는 듯 마음이 기뻤다.
영천에 들어가 몸을 깨끗이 씻고 절 안으로 들어가니 마침 밥 때가 되어 스님들은 다 큰 방에 모여 있는데 가사불사(架裟佛事)를 하던 방에는 아름다운 비단조각이 바늘과 함께 널려 있어 들어갔다.
그리고 그 아름다운 비단들을 손으로 어루만지며 바늘로 몇 땀을 떳다. 그때 스님들이 나와 호통을 했다.
「어디서 빌어먹는 여자가 들어와 신성한 가사불사를 망쳐 논담.」
하고 스님들은 노발대발 여간 나무라지 않았다. 공주가 꾸중을 듣고 절문을 나와 다시 개천을 건너려 하는데 뜻밖에 비와 바람이 몰아치며 뇌성벽력이 내려쳤다.
천왕문(天王門) 어귀에 의지하여 비와 바람을 피하고 간신히 물을 건너 먼저 뱀과 약속한 자리에 이르니 신기하게도 그 뱀은 벼락에 맞아 새까맣게 타 죽어 있었다.
어찌나 즐거운지 이 거지 여자는 미친 듯이 뛰어 들어가 청평사 부처님께 천배(千拜) 백배(百拜) 절을 하였다.
「오로지 이것은 부처님의 영험하신 신통력에 의하고 스님들이 입는 무상복전의 (無上福田衣)를 만진 큰 공덕으로 아나이다. 아무쪼록 이 은혜에 보답토록 허락하여 주옵소서.」
하고 다시 절 안으로 들어가 주지 스님을 뵙고,
「이 절에 종노릇이라도 하고 싶으니 스님께서는 자비로 허락하여 주십시오.」
사정 하였다. 그러나 처음은 완강히 거부하던 스님도 그의 말, 행색 등을 낱낱이 뜯어보더니 이는 필시 보통 여자가 아니리라 간주하고 쾌히 승낙하였다.
그래 그는 그 절에서 밥도 짓고 찬도 만들고 또 밭에 나가 김도 매었다.
하루는 대중스님들이 가사불사를 마치고 공사를 하는데 서로 화주를 맡지 않으라 하였다.
공사의 명목은 퇴락된 큰 법당을 중수하는 일이었다.
후원에서 듣고 있던 공주는 단정히 옷깃을 여미고 들어갔다.
「그 화주는 제가 맡겠습니다. 비록 소녀 미약하오나 부처님의 은혜가 지중하므로 이 불사는 소녀가 홀로 맡아 하겠습니다.」
하고 먹과 벼루를 가져오라 하였다.
공주는 떨리는 손끝으로 춘천부사와 강원감사에게 각각 한통씩의 편지를 썼다. 그리고 곧 전했다.
이 편지가 닿자마자 춘천부사와 강원감사가 일족준마(一足俊馬)로 달려와,
「공주마마 얼마나 고생이 많으셨습니까? 그렇지 않아도 원나라 조정으로부터 공주님이 내국(內國)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수소문하던 참인데 잘 되었습니다.」
하고 곧 조정에 알려 절 고칠 돈과 미곡노역을 나라에서 맡아 새 절을 잘 지으니 이것이 현재 강원도 춘성군 북산면 청평리에 있는 청평사인 것이다.
6·25전란으로 소실된 절을 다시 복구하여 그 때의 모습을 볼 수는 없으나 우람한 경내가 옛 성사(聖寺)를 짐작케 한다.

연관목차

614/1978
기이설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