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 소개로 장가들고 부자가된 윤덕삼

부처님 소개로 장가들고 부자가된 윤덕삼

분류 문학 > 불교설화모음 > 기이설화

• 주제 : 기이
• 국가 : 한국
• 시대 : 근현대
• 참고문헌 : 삼각산옥천암사적기

1819년 근세조선 순조 7년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 어떤 동네에 가난한 한 집이 있었다.
이 집에는 나이 삼십이 넘도록 장가를 가지 못한 윤덕삼(尹德三)이라 부르는 노총각이 칠십 노부모를 모시고 나무장사를 하여 근근이 살아가고 있었다.
그는 매일 첫 닭이 울면 나무짐을 짊어지고 서울로 넘어 오는데 서대문 거리는 경쟁들이 너무 심해 발붙일 곳이 없으므로 홍제동에서 왼편으로 개천을 끼고 세검정을 거쳐 자하문을 넘어 팔러 가곤 하였다.
농토 한마지기 없이 춘하추동 나무장사로만 살아간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러다가는 만년 총각으로 장가 한 번 들지 못하고 죽을 일을 생각하면 괜히 마음이 슬퍼지기도 하였다. 더욱이 그는 삼대독자 외아들이다.
만일 그렇게 된다면 조상의 손이 끊기게 되므로 부모님께 죄송하게 생각하면서 안간힘을 다 쓰고는 있었으나 별도리가 없었다.
그런데 하루는 나무 짐을 짊어지고 세검정을 향해 가다가 귀에 서투른 목탁소리가 들려왔다.
다리도 아프고 하여 나무지게를 내려놓고 바라보니 개천건너 옥천암(玉泉庵)이라는 절에서 들려오는 것이었다.
그런데 그 아래 개천 옆에는 높이 수 십 척이나 되는 바위가 편각 속에 있는데 거기에는 크게 부처님을 조각한 것이 있고 그 부처님 앞에는 수십명의 여자신도들이 스님들과 함께 향불을 피우고 제사 지내듯이 절을 올리고 있었다.
그 전에도 이것을 보지 못한 것은 아니었지만 스님들이 하는 것이거니 하고무심하게 지났다.
그런데 이 날은 이상하게도 의심이 생겼다.
「이 사람들은 무엇 때문에 저러한 짓을 하고 있을까? 저렇게 하면 돌부처가 무슨 소원이라도 이루어 준단 말인가? 사방으로 돌아다니는 똑똑한 사람도 마음대로 못 하는 일을 한 걸음도 걷지 못하고 있는 바위돌이 무슨 재주가 있어 사람을 도와준단 말인가?」
이렇게 명상과 회의에 잠겨 있는 동안 늙은 할머니들이 불공을 마치고 건너왔다.
덕삼은 한 노인을 향해 물었다.
「저 바위에 새겨놓은 부처님은 누구며, 할머니들은 무엇 때문에 거기에 대고 절을 하고 빕니까?」
그랬더니 할머니는,
「이 총각 나이는 많이 먹었어도 무식해서 아무것도 모르는구먼. 저 바위에 새긴 것은 해수관음(海水觀音) 이란 관세음보살님이신데, 이 어른은 동해, 서해, 남해 할 것 없이 모든 바다언덕위에 계신다는 보살님일세.
그러므로 강원도 동해안에는 낙산사 흥련암(紅蓮庵)의 관음굴이 있고 남해안에는 경상도 남해 금산제 보리암(菩提庵)이 있으며, 서해안에는 경기도 강화군 삼산면에 보문사(普門寺)의 관음이 계신다네.
이 곳은 바다는 아니지만 개천가인 까닭으로 멀리 바다에 가지 못하는 사람을 위하여 인연을 맺으라고 새겨놓은 관세음보살님이신데 영험이 대단하여 누구든지 저 보살님께 정성만 드리면 틀림없이 모든 소망을 다 이룬다네.」
하였다. 덕삼은 이 말을 듣고,
「그렇지만 돌부처가 무슨 신통이 있어 사람의 소원을 이루어줄 수 있습니까?」
「그것은 모르는 말, 돌부처라도 그냥 바위가 아니고 부처를 새겨 모신 바위니까 사람이 이름을 부르고 지성으로 마음을 모아 빌면 부처의 신령이 천리만리라도 걸림 없이 오셔서 의지해 앉아 정성을 받고는 소원을 이루어 주는 것일세.
그러기에 지성이면 감천이란 말이 있지 않은가? 정성이 부족하고 믿는 마음이 부족하면 그런 사람에겐 그저 돌 바위로만 보이지만 무정한 돌도 살아있는 부처님으로 변현해 나타나는 것일세.
그러므로 소원을 이루고 이루지 못하는 것은 그 돌부처께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믿는 사람의 정성과 신심여하에 있는 것일세.」
「참으로 그럴까요?」
「그렇구 말구 이 절에 다니는 신자가 수 백명인데 소원을 이루지 못한 사람이 한사람도 없다는 거야. 세상에 무슨 할 일이 없어서 갖은 고생을 해가며 이 험한 산골짜기에 올라와 돈 버리고 정성을 들이겠는가 생각을 해보게.
그러기에 여자들은 마음이 결곡해서 철저하게 믿기 때문에 소원을 쉽게 이루는데 남자들은 빌어도 건성건성 빌기 때문에 소원성취가 잘 안되는 것이네.」
하고 가버렸다.
고생에 고생을 거듭하고 쪼들릴 대로 쪼들린 윤총각은 귀가 번적 트이는 것 같았다.
그러므로 그는 그 다음날부터 이 곳을 지날 때에는 반드시 길가에 나무 짐을 버티어 놓고 건너가서 그 해수관음에게 수 십 번씩 절을 하고 마음속으로 축원하였다.
「대자대비 하신 관세음보살님이시여, 제가 장가를 들어 자손을 보고 부자가 되서 나무장사를 면하게 하여 주옵소서. 이 것이 저의 소원입니다.」
하였다.
그러나 예배만으로 시원치가 않아 점심밥으로 먹을 도시락을 나무 짐에서 꺼내어 가져다가 올리고 다시 절을 하였다.
도시락이라 하여도 밥은 아침에 새로 지은 밥이나 보리밥이 아니면 조밥이요, 게다가 된장덩어리가 끼어 있어 퀴퀴한 냄새가 나는 것이었다.
그러나 부처님도 가난뱅이에게는 이런 것이라도 용서하시고 받으실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윤덕삼은 눈이 오나 비가 오나 하루 같이 나무 짐을 지고 왕래할 때 마다 그와 같이 하였는데, 이렇게 백일을 하고 나니 비록 돌부처라고는 하지만 어머니 이상으로 친해져 보기만 해도 다정함을 느꼈다.
이제는 부끄럼 없이 서로 쳐다보고 농도하고 어린 양을 부릴 수 있을 것 같았고 그만하면 자기 소원을 들어줄 만도 한 것 같았다.그해 겨울이 지나고 따스한 봄날이 돌아왔다.
그날도 윤덕삼은 해수관음에게 들렀다.
그런데 마침 비가 쏟아져 일어나 갈수가 없었다.
덕삼은 문도 없는 관음각(觀音閣)에 홀로 남아 있다가 심심하기도 하고 답답하기도 하여 『우물꼬누』를 커다랗게 그려놓고 관세음보살에게 꼬누를 두는 내기를 하자고 말했다.
「관세음보살님, 이제 저와 같이 내기 꼬누를 둡시다. 저는 이길 자신이 있으니 만약 제가 이기면 관세음보살님이 그 댓가로 저의 소원을 들어 주서야 합니다.」
하고 꼬누를 두기 시작하였다.『우물꼬누』란 첫 수에 이기고 지는 것이 결정 되는 것이다.
덕삼은 조약돌 두 개를 주워다가 하나는 제 것이라 하고 하나는 관세음보살님 것이라 몫을 정해놓고, 「그럼 제가 먼저 두겠습니다.」
하고 첫 수에 관세음보살을 우러러 쳐다보면서,
「관세음보살님 분명히 보셨지요? 꼬누는 분명 제가 이겼습니다.
그러니 내일이라도 속히 저의 소원을 꼭 성취시켜 주셔야 합니다.」
총각은 이렇게 말을 하고 지게를 지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바로 그날 밤 꿈에 거룩한 늙은 부인이 나타나,
「나는 해수관음을 모시고 있는 옥천암에서 온 보살이다.그런데 너의 정성이 하도 갸륵하여 너에게 도움이 될 말을 일러 주러왔다. 네가 내일 첫 새벽 닭이 울 때에 나무 짐을 지고 떠나 밤이 새기 전에 자하문 밖에 가서 기다리고 있거라.
그리하여 문이 열려지면 첫번 나오는 여자가 있거든 사정하라 (남녀가 유별한데 먼저 말하기는 미안하지만 어디로 가시는 누구인지는 모르나 제가 안내하여 줄 터이니 저를 따라 오십시오)하고, 그를 너의 집으로 인도하면 너의 소원을 이루게 될 것이다.」
하였다. 꿈속일망정 덕삼은 하도 좋아,
「고맙습니다. 꼭 그렇게 하겠습니다.」
하고 웃으며 깨고 보니 역력한 꿈이었다.
윤덕삼은 곧 이어 뒷집에서 첫 닭이 우는소리를 듣고 바쁘게 매무새를 고치고 밖으로 나와 나무 짐을 지고 집을 나오려 하자 어머니가,
「얘야, 오늘은 먼동도 트지 않았는데 벌써 나가느냐?」
하고 물었다. 덕삼은,
「네, 오늘은 일찍이 누구를 만나서 데리고 올 사람이 있어 일적 나갑니다.」
「그럼 찬밥 남은 것이라도 뒤져 먹고 가거라.」
하고 부엌으로 들어가려 하였다. 덕삼은 마음이 설레이어
「밥 먹을 새도 없어요.」
하고 집을 떠났다.
빈속에 나무 한 짐을 지고 종종 걸음으로 삼십리를 걸어 자하문밖까지 올라가는 일을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희망에 벅차 들뜬 몸이므로 배고픈 것도, 무거운 것도 다 잊어버리고 단숨에 자하문 밖에 이르러 짐을 내려 놓고 보니 아직 문이 열리지 않았다. (옛날에는 장안의 사대문은 물론 그 밖의 사립문까지도 여닫는 시간이 있어 그 시간이 아니면 문을 닫고 일체의 통행을 금했다. )
다행으로 생각하고 먼동이 트이기를 기다리고 있는데 문틈으로 하얀 버선을 신은 발이 왔다 갔다 하였다. 덕삼은 속으로
「관세음보살님이 거짓말은 하지 않으셨구나.」
하고 어느 정도 가슴을 진정하고 있는데 마침 문이 열렸다.
물론 제일 먼저 보자기를 머리에 인 여자가 쏜살 같이 세검정으로 내려갔다.
덕삼은 나무 짐과 지게도 버리고 종종걸음으로 쫒아 내려가 소매를 붙들고 꿈속에서 일러주신 대로 하였다.
「놀라지 마십시오. 남녀가 유별한데 먼저 붙잡고 말하기는 실례인 줄 아오나 어디로 가는 낭자이신지 제가 길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하니 생파리 같이 톡 쏘고 말대답도 하지 않을 줄 알았던 그 어여쁜 낭자가 뜻밖에도 잡은 손을 뿌리치지 않고 부드러운 말소리로,
「저 윤도령이란 총각을 찾아갑니다.」
하였다. 덕삼은 너무나도 뜻밖이라 눈이 휘동그래 가지고,
「제가 윤총각인데요.」
「네? 그러세요. 어떻게 알고 오셨나요?」
「이리 오실 줄 알고 마중 나왔습니다.」
「간밤의 꿈에 어떤 점잖은 노인이 오시어 말씀하시기를 <장안에 있는 심낭자가 너를 찾아갈 터이니 잘 보살펴주라>고 하시더군요. 그래서 첫닭이 우는 새벽 마중을 떠나 왔습니다.」
「저에게도 그러한 부인이 간밤의 꿈에 나타나 그를 따라가면 심덕이 좋아 해롭지 않을 것이니 따라 가거라>하시 길래 그 말씀을 기억하여 여기 나왔습니다. 어쩌면 그렇게도 꿈이 같을까요?」
「그게 다 천생연분을 만난 까닭입니다.」
「아이 망측해라.」
「망측하기는 무엇이 망측합니까. 세상 만물이 다 임자가 있는 것인데―」
두 사람은 초면 같지 않게 이렇게 주거니 받거니 나란히 내려와
「여기서 잠깐 쉬어 갑시다.」
하고 심낭자를 보살님 앞으로 인도했다.
그 때 마침 둥근 햇빛이 불끈 솟아 그들 앞을 비춰 주었다.
덕삼은 밝은 얼굴로
「자, 우리 오늘 일을 감사하기 위하여 부처님께 절이나 먼저 합시다.」
하니 심낭자가 쳐다보고 깜짝 놀라며,
「어머나 이 분이 간밤의 꿈에 뵙던 분의얼굴과 꼭 같습니다.」
「그래서 절하자고 한 겁니다. 우리의 인연은 이 부처님께서 맺어주신 것입니다.」
하고 몇 번 이고 절을 하고
「감사합니다. 부처님, 감사합니다. 부처님.」
하고 감격하여 어찌할 줄 몰랐다. 이 때 여자가 보자기를 끄르고,
「시장하실 텐데 요기나 하고 가시죠.」
하고 도시락을 꺼내 들었다. 덕삼은 너무나도 감격해서,
「도시락은 또 어디서 났습니까?」
「제가 이럴 것을 예상해서 미리 준비해 왔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가 먼저 먹을 수 있나요? 보살님께 먼저 올리고 먹읍시다.」
하고 덕삼은 여자와 같이 밥을 올리고 절을 한 다음 맛있게 나누어 먹었다.
흘러가는 시냇물 소리가 요란하였다.
마치 두 사람의 앞길을 축복하는 음악 소리와 같이 잠깐 쉬고 일어나 덕삼의 집으로 들어가는 동안, 그들은 서로 얼굴을 쳐다보고 흡족해하였다.
그런데 이 심낭자는 어찌 된 사람인가?
그는 명문대가의 규수로 열여섯 살에 어떤 양반의 집으로 출가하였으나 공방살이 끼었는지 남편 되는 신랑이 혼례 즉시 보기 싫다 퇴박을 하여 3년 동안을 넘어 있다가 견디다 못해 친정으로 돌아와 7년, 십년을 동안을 수절하며 남편의 개심을 기다렸으나 아무리 기다려도 아무 희망이 없었다.
그러니 말만 시집갔지 새 처녀나 다름이 없었고 그렇다고 평생토록 독신으로 있을 수도 없고, 또 버젓이 개가할 수도 없어 어머니를 졸라 어디론가 부지거처로 길을 떠나기로 결심하였다.
그때 그의 어머니는 불쌍하게 생각하고 값나가는 금, 은, 보석. 산호, 비취 등 귀중한 패물을 한 보따리 싸주고 눈물을 흘리면서 인연 따라 마음대로 집을 나가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심낭자는 스물여섯 살 되던 해 그것을 가지고 길을 떠나려 하는데 그날 밤 꿈에 관세음보살이 늙은 부인으로 나타나
「네가 다른 문으로 나가지 말고 자하문으로 나가되 문 앞에 이르거든 첫 번 만나는 윤총각 이라는 남자를 따라가면 행복하게 살 것이다.」
하여 그 말씀대로 하였던 것이다.
이 말을 들은 윤덕삼은 그것이 꿈이 아닌 현실임을 실감하고 끝없는 행복을 느꼈다.
윤총각은 다시 날을 받아 일가친척을 모으고 간단하게 혼례를 치른 다음 심낭자가 가지고온 패물을 팔아 집과 토지를 사고 또 산도 사서 큰 살림을 벌이니 일시에 신도면 일대에서는 제일가는 부자가 되었다.
지금도 그의 5대손이 살아 있어 독실한 믿음을 가지고 옥천암의 단골 신도가 되어 있다.

<三角山玉泉庵事跡記>

연관목차

613/1978
기이설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