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서성

상서성

[ 尙書省 ]

시대명 고려

고려의 국가행정기관.

982년( 1) 종래의 광평성(廣評省)을 폐지, 어사성(御事省)을 설치했다가 995년(성종 14) 상서성으로 개칭했다. 그 구성은 상서도성(尙書都省)과 상서6부(尙書六部), 그리고 그 밑에 속사(屬司)가 딸려 있는데, 성종 때 9개의 속사였다가 현종 때는 2사만 남게 되었다. 상서도성은 형식적으로는 상서성의 중앙기구이나 형식적 사무기구의 역할뿐이었으며 국정은 상서6부의 기본으로, 위로는 왕에게 직접 아뢰고(직진, 直秦) 아래로는 일반 관서와 지방에 직접 명령을 내리는(직첩, 直牒) 관계에 있었다.

고려의 상서6부는 이(吏)·병(兵)·호(戶)·형(形)·예(禮)·공부(工部)로서, 이·호·예·병·형·공부의 순으로 된 당제(唐制)의 서열과는 차이가 있다. 상서성은 이후 무인집정기구의 성립으로 그 기능이 약화되었고, 1275년(충렬왕 11)에는 에 병합되어 (僉議府)가 설치됨으로써 사실상 폐지되었다. 그 후 1356년( 5)에 부활되었다가 1362년 중서문하성에 상서도성을 병합시켜 도첨의부(都僉議府)로 고침으로써 다시 폐지되었다. 또한 기능이 대두됨에 따라 6부도 그 기능과 지위가 약화되어, 고려 말에는 기능이 거의 없어지고 행정체계도 도당직첩제(都堂直牒制)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