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조기

분류 교통/통신/지리 > 해양문화사전 > 해양자원 > 어패류

몸길이는 30㎝ 내외로 겨울에 제주도 서남방, 상해 동쪽의 난해(暖海)에서 월동한 뒤 북상하여 3월 하순에서 4월 중순경에 위도 칠산탄(七山灘)부근에 이르고, 4월 하순부터 5월 중순 사이에는 연평도 근해에 이른다. 6월 상순경에는 압록강 대화도 부근에 이르고, 하순에는 발해만에 도달하여 천해 간석지에서 산란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회유할 때 개구리가 떼를 지어 우는 것 같은 소리를 내면서 물 위로 튀어오르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농밀한 어군이 일제히 소리를 낼 때에는 인근에서 배에 탄 사람들이 시끄럽게 느낄 정도이다. 보구치는 참조기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몸빛이 백색이고, 꼬리지느러미 끝이 참빗 모양으로 생긴 것이 다르다. 참조기·보구치·수조기·부세·흑조기 등이 이에 속한다. 참조기는 몸이 길고 옆으로 납작〔側扁〕하며, 꼬리자루가 가늘고 길다. 등지느러미 연조부와 뒷지느러미에 거의 연변(緣邊)까지 비늘이 있다. 몸 길이는 30㎝ 내외이다. 경상북도 이남의 동해와 서남 연해에 분포하고, 중국·대만 연해에도 분포한다. 수심이 40∼100m인 근해의 모래진흙 바닥에서 산다. 산란기는 5∼8월이다. 『훈몽자회』에는 석수어(石首魚)라고도 하였고, 『송남잡지 Y南雜識』에 의하면 머리에 돌이 있으므로 석수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조기어업의 역사는 매우 깊어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전라남도 영광군의 기사에 ˝석수어는 군 서쪽의 파시평(波市坪)에서 난다. 봄과 여름이 교차하는 때에 여러 곳의 어선이 모두 여기에 모여 그물로 잡는다. 관에서는 세금을 거두어 국용(國用)에 쓴다.˝고 하였다. 황해도 해주목의 기사에서도 석수어는 주의 남쪽 연평평(延平坪)에서 난다고 하고, 어업실태에 대해서는 영광군과 동일한 내용을 싣고 있다.이 때 이미 참조기의 주산지에서는 조기어업이 대성황을 이루고 있었고, 파시(波市)가 형성되어 있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선망(中船網) 같은 어망으로 잡았을 것이며, 어전(漁箭)에도 많이 잡혔을 것이다. 조기어업은 조선시대 전반을 통하여 성하였다. 전라도지방에서는 함경도의 명태처럼 많이 잡힌다고 하여 ‘전라도 명태’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기도 하였다.

사진

영광 칠산도 바다 앞 조기잡이

영광 칠산도 바다 앞 조기잡이 칠산도 바다 앞에서 조기잡이중인 어선의 모습이다.

연관목차

1853/2347
소금
수림
어패류
조기 지금 읽는 중
해조류
조류
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