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

오징어

분류 교통/통신/지리 > 해양문화사전 > 해양자원 > 어패류

오늘날에는 오징어를 흔히 갑오징어라고도 하고, 피둥어꼴뚜기를 오징어라고 하는 등 용어상의 혼동이 있다. 오징어과의 동물들은 몸이 몸통·머리·발로 구분되는데, 몸통은 타원형이고, 1쌍의 옆지느러미는 좁고 몸통의 전길이에 따라 붙어 있으며 보통 뒤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발은 5쌍 10개가 있으며, 이 중 4쌍은 짧고 1쌍은 길다란 더듬다리〔觸腕〕로 되어 있다. 발에 있는 빨판은 보통 4줄로 배열한다. 패각(貝殼)은 몸 속에 들어 있는데 석회질로 되어 있고 크고 넓으며 앞부분은 매우 두껍고 뒷부분은 안쪽이 옴폭하다. 우리나라 해역에서는 참오징어·무늬오징어·쇠오징어 등 10여 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산어보≫에서는 오징어의 생김새를 비교적 상세하고 정확하게 기록하였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는 ˝남월지(南越志)에서 이르기를 그 성질이 까마귀를 즐겨 먹어서, 매일 물 위에 떠 있다가 날아가던 까마귀가 이것을 보고 죽은 줄 알고 쪼면 곧 그 까마귀를 감아 잡아가지고 물 속에 들어가 먹으므로 오적(烏賊)이라 이름지었는데, 까마귀를 해치는 도적이라는 뜻이다라고 하였다.˝고 하거나 ˝등에 긴 뼈가 있는데 타원형이다. 살은 매우 무르고 연하다. 알이 있다. 속에 주머니가 있어 먹물을 가득 채우고 있다. 오징어를 침범하는 것이 있으면 곧 그 먹물을 내뿜어서 침범한 것을 현혹하게 한다. 그 먹물을 취하여 글씨를 쓰면 색이 매우 윤기가 있다. 그러나 오래되면 벗겨져서 흔적이 없어진다. 바닷물에 넣으면 먹의 흔적이 다시 살아난다고 한다. 등은 검붉고 반문이 있다. 맛은 감미로워 회나 포 감으로 좋다. 그 뼈는 곧잘 상처를 아물게 하고 새 살이 나게 한다. 뼈는 또한 말의 상처와 당나귀의 등창을 다스리는데, 뼈가 아니면 이것들을 고치지 못한다.˝라는 글을 통해 오징어에 대한 설명과 '오즉'이라는 명칭의 유래도 상세하게 논하였다. 『전어지』에도 위와 같은 내용의 오적어라는 명칭의 유래가 소개되어 있고, 흑어·남어의 유래도 소개하였다. 즉, ˝뱃속의 피와 쓸개가 새까맣기가 먹과 같으며 사람이나 큰 고기를 보면 먹을 갑자기 사방 여러 자까지 내뿜어서 스스로 몸을 흐리게 하므로 일명 흑어라고 한다. ……풍파를 만나면 수염(더듬다리를 말함)으로 닻줄처럼 닻돌을 내리기 때문에 남어라고도 한다.˝라고 하였다. 또한 『전어지』에는 오징어를 잡는 방법을 인용, 소개하였다. 즉, ˝어부들은 동(銅)으로 오징어 모양을 만들고 그 수염(다리)은 모두 갈고리로 하면 진짜 오징어가 이것을 보고 스스로 와서 갈고리에 걸린다. 오징어는 사람을 보면 먹을 사방 여러 자까지 토하여 그 몸을 흐리게 하는데, 사람은 도리어 이로써 오징어를 잡는다.˝라고 하였다. 『규합총서』에는 나무를 심을 때 오징어뼈가 나무에 들어가면 죽고, 모란을 심을 때 오징어뼈가 들어가면 죽고, 오징어가 소만(小滿)을 지내면 살이 적어지고, 오징어뼈를 우물 가운데 담그면 잡벌레가 다 죽는다는 등의 이야기가 적혀 있다.

사진

포항 구룡포 가을 오징어 건조 시작

포항 구룡포 가을 오징어 건조 시작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에서 오징어 건조를 시작하는 가을 무렵의 모습

연관목차

1857/2347
소금
수림
어패류
오징어 지금 읽는 중
해조류
조류
지형
해양도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