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혜쌍수 돈오점수

정혜쌍수 돈오점수

[ 定慧雙修-頓悟漸修 ]

시대명 고려

보조국사 이 정혜사(뒤의 )를 결성하여 내세운 불교 실천운동의 핵심사상.

정혜쌍수는 불교수행의 핵심을 이루는 두 요소 정(定)과 혜(慧)를 함께 닦자는 실천운동이며, 이 정혜쌍수의 바탕이 되는 이론이 돈오점수설이다. 돈오는 인간의 본심을 깨달아 보면 제불(諸佛)과 조금도 다름이 없는데, 자신(인간)의 마음이 부처임을 문득 깨닫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돈오를 해도 오랫동안에 걸쳐 젖어온 망습(妄習)이 갑자기 제거되는 것이 아니므로 꾸준한 수행(점수(漸修))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수라는 종교적 실천의 방법이 바로 선정(禪定)과 지혜(智慧)를 같이 닦아야 한다는 정혜쌍수이다.

지눌은 이러한 돈오점수설에 입각한 정혜쌍수의 법을 성적등지문(惺寂等持門)이라고 했으며, 여기에 다시 화엄사상을 도입하여 원돈신해문(圓頓信解門)을 세우고 화엄과 선이 근본에 있어서는 둘이 아니라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더 나아가 수행의 마지막 단계로 간화경절문(看話徑截門)을 내세우고 있는데, 이러한 수행을 통해 일체의 지혜와 분별을 떠나 정과 혜에도 구속되지 않는 최고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다. 성적등지·원돈신해·경절의 3문으로 이루어진 이러한 지눌의 선의 실천체계는 대단히 독창적인 것으로서, 당시 고려불교사의 기본적 과제인 선·교 통합문제에 해결책을 제시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