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조

태조

[ 太祖 ]

시대 조선
출생 - 사망 1335년(고려 충숙왕 복위 4년) ~ 1408년(태종 8년)
본관 전주(全州)
본명 이성계(李成桂)
이명 : 군진(君晋)
: 송헌(松軒)
직업
재위기간 1392년 ~ 1398년

조선의 제1대 왕. 태조. 재위기간은 1392~98년. 자는 군진(君晋), 호는 송헌(松軒), 본관은 전주, 영흥출생.

사대부와 함께 조선 건국의 주체세력을 이룬 신흥 무장세력의 대표적 인물로서, 세력기반은 원나라 지배 아래에 있었던 동북면이었다. 전주 출신인 이성계의 선조가 이 지역으로 이주한 것은 4대조 이안사(李安社) 때였다. 당시 에 저항하던 시기에 지방 토착세력을 대표하는 이안사가 중앙에서 파견된 지방관들과 충돌한 후 170여 호를 이끌고 삼척을 거쳐 의주(宜州, 덕원부. 함경남도 남부에 위치)로 옮겨갔고, 고려 정부는 그를 의주로 삼아 진(鎭)을 두고 방어하게 했다. 그러나 의주가 원나라의 에 속하게 되자, 이안사는 원나라에 투항한 유이민 집단의 우두머리로 원나라의 관직을 받았으며, 이 관직을 아들이 세습하여 원나라의 앞잡이로 더욱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이성계의 증조인 이행리(李行里)는 원나라의 세조가 을 침략할 때 군인을 선발, 쌍성총관부의 장군들과 함께 참여했고, 쌍성 등 여러 곳에 흩어져 사는 고려인을 관할하는 (達魯花赤)가 되었다. 이렇게 대대로 원나라의 관직을 세습하며 고려와 대립관계에 있던 이성계 가문이 고려와 손을 잡게 된 것은 이성계의 아버지 이자춘(李子春) 때였다. 원나라가 유이민을 기반으로 형성된 이자춘 세력을 통제하려 하자 이자춘은 을 만났고, 공민왕 역시 반원정책(反元政策)을 추진하던 때여서 동북면의원 세력 제거를 원했기 때문에 이자춘과 협력하게 된 것이다.

이성계는 22살 때 아버지의 공에 따라 우대되어 처음 벼슬을 했고, 1361년에는 정3품의 중앙 무반직과 선조의 기반인 상만호(上萬戶)의 직책을 맡게 된다. 이 시기부터 이성계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그가 참여했던 작전이나 전투는 대부분 고려에도 중요했던 것으로, 하나는 동북면과 그 일대의 원나라 잔존 세력, 원나라와 결탁한 세력, 과의 싸움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서북면으로 쳐들어오는 , 원나라와 결탁한 불만세력과의 싸움이었고, 마지막으로 해안으로 들어오는 왜구와의 싸움이었다. 이 과정에서 이성계는 선조 때부터 따라온 주민으로 구성된 사병(私兵)을 투입해 큰 공을 세우면서 동북면에서의 세력기반을 확장시킬 수 있었다. 또 안으로는 과 협력해 당시 권력을 쥐고 있던 (李仁任) 일파를 몰아내고 문하시중(門下侍中)이 되었으며, 우왕 때 우군도통사가 되어 에 참여했다가 위화도에서 군대를 돌이켜 최영일파를 제거하고 권력을 잡게 된다.

새로운 왕조건설에 반대하는 등을 제거한 후, · 등의 영립으로 92년 왕위를 물려받는 형식을 빌려 왕위에 올랐다. 처음에는 민심의 동요를 염려해 국호를 그대로 두었으나 93년에 「조선」이라 고치고, 수도도 한양으로 옮겨 새로운 국가의 면목을 갖추었다. 그러나 여덟 왕자가 왕위쟁탈 문제로 두 차례나 「왕자의 난」을 일으키고 결국 세자로 세웠던 방석(芳碩)이 죽자, 왕위를 정종(둘째 아들 방과(芳果))에게 물려주고 고향인 함흥으로 갔다. 태종이 모셔왔으나 1402년 함경도로 들어간 채 돌아오지 않았고, 태종이 보내는 사자들마저 돌려보내지 않았다 해서 「함흥차사(咸興差使)」란 말이 생길 정도였다. 뒤에 무학대사가 겨우 서울로 오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