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심포

주심포

[ 柱心包 ]

시대명 고려

우리나라 목조건축양식의 하나. 공포(拱包, 목조건축에서 기둥과 창방과 들보를 연결하는 장치 : 기둥과 기둥을 옆으로 잇는 것을 창방이라 하고, 앞뒤로 가로지르는 나무를 들보라고 한다. 이들을 연결하는 장치인 공포를 어떻게 역학적으로 효과있게, 그리고 외형적으로 멋있게 짜느냐가 목조건축에서는 중요한 과제가 된다)가 기둥머리 바로 위에 받쳐진 형식을 말한다. 다포계 양식보다 오래된 것으로, 고구려 벽화의 그림을 통해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심포집은 맞배지붕과 어우러져 단순하지만 장중하고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이 특징이다. 고려시대의 주심포계 양식으로는 봉정사 극락전·부석사 무량수전·수덕사 대웅전·강릉 객사문(客舍門) 등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다포계 양식이 더 많이 사용되면서 주심포계 건물은 규모가 작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부석사 조사당·무위사 극락전·도갑사 해탈문·관룡사 약사전·송광사 국사전(國師殿) 및 하사당(下舍堂)·개목사 원통전·봉정사 화엄강당·고산사 대웅전 등이 그 실례이다.

관련이미지

강릉 객사문

강릉 객사문 고려시대 주심포계 양식의 건물로 단순하지만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출처: 한국고중세사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