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괘릉

경주 괘릉

분류 교통/통신/지리 > 해양문화사전 > 해양사 > 교류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원성왕의 능으로 추정되는 고분으로 낮은 구릉에 남면해 있다. 괘릉이라는 이름은 이곳에 왕릉이 조성되기 이전에 원래 작은 연못이 있어 연못의 원형을 변경하지 않고 왕의 유해를 수면상에 걸어 안장하였다는 속설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능은 외형상 원형토분(圓形土墳)으로 규모는 지름 약 23m, 높이 약 6m이다. 봉분 아래에는 봉토(封土)를 보호하기 위한 호석(護石)이 설치되어 있다. 호석은 목조건축의 석조기단(石造基壇)과 같이 지대석(地臺石) 위에 높이 95㎝, 길이 120㎝ 크기의 판석(板石)으로 된 면석(面石)을 놓고 그 위에 갑석(甲石)을 올렸다. 각 면석의 사이에는 봉분 내부로 뿌리가 길게 뻗어 면석과 봉토가 붕괴되지 않도록 지탱해주는 탱석(撑石)을 배치했는데, 탱석의 전면은 면석보다 약간 앞으로 내밀어져 있다. 탱석에는 두 칸 건너서 하나씩 무복(武服)을 입고 무기를 잡고 있는 십이지신상을 조각했으며, 그 조각수법은 신라 십이지신상의 조각품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손꼽히고 있다. 호석의 밖으로는 길이 110㎝, 너비 40㎝의 부채꼴 판석을 정연하게 깔아 회랑으로 조성하였다. 회랑 둘레에는 높이 1.7m의 네모진 돌기둥을 세워 돌난간을 설치했는데, 현재 돌기둥은 25개가 모두 남아 있으나, 돌기둥 사이사이에 2단으로 끼웠던 난간살대는 거의 유실되었다. 봉분의 바로 앞에는 동쪽으로 약간 치우쳐 사각형 석상(石床)이 놓여 있다. 봉분의 중심에서 남쪽으로 약 80m 떨어진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동서로 약 25m 사이를 두고 북쪽으로부터 돌사자 두 쌍, 문인석(文人石) 한 쌍, 무인석(武人石) 한 쌍과 화표석(華表石) 한 쌍이 얼굴을 마주 대하고 차례로 늘어서 있다. 이 석조물들의 조각수법은 매우 당당하고 치밀하여 이와 같은 유형의 신라 조각품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힘이 넘치는 모습의 무인석은 서역인의 얼굴을 하고 있어 주목되는데 페르시아 무인상이라는 주장도 있다.

사진

경주 괘릉(사적)

경주 괘릉(사적)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에 위치한 사적으로서 신라 31대 원성왕의 것으로 추정되는 능

경주 괘릉 무인석상(좌측)

경주 괘릉 무인석상(좌측) 신라 원성왕릉인 괘릉 앞에 서 있는 서역인 형상의 무인석상 모습이다. 당시 울산 개운포를 중심으로 활발했던 국제교류를 상징한다.

경주 괘릉 무인석상(좌측)

경주 괘릉 무인석상(좌측) 신라 원성왕릉인 괘릉 앞에 서 있는 서역인 형상의 무인석상 모습이다. 당시 울산 개운포를 중심으로 활발했던 국제교류를 상징한다.

경주 괘릉 무인석상(우측)

경주 괘릉 무인석상(우측) 신라 원성왕릉인 괘릉 앞에 서 있는 서역인 형상의 무인석상 모습이다. 당시 울산 개운포를 중심으로 활발했던 국제교류를 상징한다.

경주 괘릉 무인석상(우측)

경주 괘릉 무인석상(우측) 신라 원성왕릉인 괘릉 앞에 서 있는 서역인 형상의 무인석상 모습이다. 당시 울산 개운포를 중심으로 활발했던 국제교류를 상징한다.

경주 괘릉

경주 괘릉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에 위치한 사적으로서 신라 31대 원성왕의 것으로 추정되는 능

경주 괘릉

경주 괘릉 신라 원성왕릉인 괘릉이다. 여기에 서역인 형상의 무인석상 2기가 있다.

연관목차

251/2347
교류
경주 괘릉 지금 읽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