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판소리

시대명 조선

조선 후기에 발생한 창극(唱劇)의 하나.

전라도와 충청도를 중심으로 발달했다. 광대 1명이 북잡이(고수(鼓手))의 북 장단에 맞추어 일정한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를 창과 대사로 연출하는 것이다. 판소리 장단에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잦은 중모리, 잦은 모리, 엇모리 등이 있는데 이것들은 여러 가지 감정들을 표현하는 데 쓰였다. 판소리는 민중문화가 성장을 보이고 있던 조선 숙종 무렵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초기의 판소리는 17~18세기경 유행하던 가사와 잡가의 한 가닥이었다. 그러나 민간설화를 줄거리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춘향가> <심청가> <적벽가> <장끼타령> <무숙이타령> <배비장타령> <강릉매화전> <숙영낭자전> <옹고집전>의 12마당으로 꾸며져 있다. 최선달(崔先達)·하한담(河漢潭) 등에 의해 완성되어 영·정조대를 거쳐 순조 때에 이르러 매우 번창했다. 특히 고종 때 신재효는 판소리를 정리하고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가루지기타령> <적벽가>의 6마당으로 개작해 판소리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이름난 판소리 가수로는 18세기 말경의 권삼득·황해천, 19세기전반기의 송홍록·모흥갑·염계달·김용운·주덕기 등이 있는데 이들은 판소리의 양식을 완성하는 데 기여했다. 19세기에는 서도지방에도 고유한 잡가·판소리들이 형성되었다. 판소리는 20세기 초의 창극의 모체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