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고려사

[ 高麗史 ]

요약 고려왕조의 역사책.

『고려사』 권70과 71에 전하는 「악지」는 고려시대 음악문화에 관한 기록을 다음과 같이 담고 있기 때문에, 고려음악의 기본사료가 된다.

◇ 『고려사』 권70: 아악(雅樂): 국왕이 친히 제사할 때의 등가(登歌)와 헌가(軒架), 유사(有司)가 일을 대행할 때의 등가와 헌가, 등가악기·헌가악기, 등가와 헌가의 음악을 질주(迭奏)하는 절도(莭度), 헌가악(軒架樂)을 독주하는 절도, 고취악(鼓吹樂)을 쓰는 절도; 태묘악장(太廟樂章): 태조 제1실, 혜종(惠宗) 제2실, 현종(顯宗) 제3실, 덕종(德宗) 제4실, 정종(靖宗) 제5실, 문종(文宗) 제6실, 순종(順宗) 제7실, 선종(宣宗) 제8실, 숙종 제9실, 태조 제1실, 혜종 제2실, 현종 제3실, 원종(元宗) 제4실, 충렬왕(忠烈王) 제5실, 충선왕(忠宣王) 제6실, 충숙왕(忠肅王) 제7실, 충혜왕(忠惠王) 제8실, 충목왕(忠穆王) 제9실, 초헌(初獻)·아헌(亞獻)·삼헌(三獻)·사헌(四獻)·오헌(五獻) ···(중략)··· 송(宋)에서 새로이 악기를 내려줌.

◇ 『고려사』 권71: 당악(唐樂): 악기(樂器), 헌선도(獻仙桃)·수연장(壽延長)·오양선(五羊仙)·포구락(抛毬樂)·연화대(蓮花臺)·석노교곡파(惜奴嬌曲破)·만년환만(萬年歡慢)·"억취소만"(憶吹簫慢)·"낙양춘"(洛陽春)·"월화청만"(月華淸慢)·"전화지령"(轉花枝令)·"감황은령"(感皇恩令)·"취태평"(醉太平)·"하운봉만"(夏雲峰慢)·"취봉래만"(醉蓬萊慢)·"황하청만"(黃河淸慢)·"환궁악"(還宮樂)·"청평악"(淸平樂)·"예자단"(荔子丹)·"수룡음만"(水龍吟慢)·"경배악"(傾盃樂)·"태평년만"(太平年慢)·"금전악만"(金殿樂慢)·"안평악"(安平樂)·"애월야면지만"(愛月夜眠遲慢)·"석화춘조기만"(惜花春早起慢)·"제대춘만"(帝臺春慢)·"천추세령"(千秋歲令)·"풍중류령"(風中柳令)·"한궁춘만"(漢宮春慢)·"화심동만"(花心動慢)·"우림령만"(雨林鈴慢)·"행향자만"(行香子慢)·"우중화만"(雨中花慢)·"영춘악령"(迎春樂令)·"낭도사령"(浪淘沙令)·"어가행령"(御街行令)·"서강월만"(西江月慢)·"유월궁령"(遊月宮令)·"소년유"(少年遊)·"계지향만"(桂枝香慢)·"경금지령"(慶金枝令)·"백보장"(百寶粧)·"만조환령"(滿朝歡令)·"천하악령"(天下樂令)·"감은다령"(感恩多令)·"임강선만"(臨江仙慢)·"해패령"(解佩令); 속악(俗樂): 악기(樂器), 무고(舞鼓)·동동(動動)·무애(無imagefont)·"서경"(西京)·"대동강"(大洞江)·"오관산"(五冠山)·"양주"(楊州)·"월정화"(月精花)·"금강성"(金剛城)·"장생포"(長生浦)·"총석정"(叢石亭)·"거사련"(居士戀)·"처용"(處容)·"사리화"(沙里花)·"장암"(長巖)·"제위보"(濟危寶)·"안동자청"(安東紫靑)·"송산"(松山)·"예성강"(禮成江)·"동백목"(冬柏木)·"한송정"(寒松亭)·"정과정"(鄭瓜亭)·"풍입송"(風入松)·"야심사"(夜深詞)·"한림별곡"(翰林別曲)·"삼장"(三藏)·"사룡"(蛇龍)·"자하동"(紫霞洞); 삼국속악(三國俗樂): 신라(新羅): "동경"(東京)·"목주"(木州)·"여나산"(余那山)·"장한성"(長漢城)·"이견대"(利見臺); 백제(百濟): "선운산"(禪雲山)·"무등산"(無等山)·"방등산"(方等山)·"정읍"(井邑)·"지리산"(智異山); 고구려(高句麗): "내원성"(來遠城)·"연양"(延陽)·"명주"(溟州); 속악을 쓰는 절도(莭度).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1.73~7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