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참기지화

병참기지화

[ 兵站基地化 ]

시대명 근대/일제강점기

1930년 이후 일제가 조선을 대륙침략전쟁 수행의 견고한 후방지·병참기지로 이용하기 위해 취한 일련의 정책. 을 시작으로 중일전쟁·을 일으키면서 종전의 를 폐기하고 병참기지화 정책을 펴나갔다. 우선 경찰력·군사력을 증강시켜, 태평양전쟁 말기에는 약 23만 명의 일본군을 조선에 배치, 전국토를 장악했고, 경찰병력도 32년의 20,229명에서 41년에는 35,239명으로 증가시켰다. 그 외에 경방단·비밀고등경찰·헌병스파이 등을 두어 수많은 애국지사와 저항하는 민중들을 검거·투옥·학살했으며, 철저한 사상통제를 실시했다.

36년 을 만들어 서울·평양·대구 등 7개소에 보호관찰소를 설치, 위반자를 감시하고, 37년 조선중앙정보위원회를 두어 지식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38년 사상전향자 단체인 (全鮮思想報國聯盟)을 만들어 반일사상 박멸을 선전하게 했다. 41년에는 조선사상범예방구금령을 제정, 전향하지 않은 사상범을 강제구금시켰으며, 조선임시보안령을 공포, 전시하의 언론·출판·집회·결사에 대한 단속을 강화했다. 44년에는 조선전시형사특별령을 만들어 재판을 2심제로 바꾸고, 특히 국정변란죄에 관한 형별을 강화했다. 또한 일제는 전시체제를 강조하면서 국민생활 전반을 철저히 통제, 을 조선에 적용하고,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을 만들어 전조선인을 장악했다. 한편, 군수 공업화·민족말살정책 등을 실시, 침략전쟁을 이끌어갔다.

연관목차

484/1295
5. 민족말살정책과 항일운동
병참기지화 지금 읽는 중
6. 무장독립전쟁
7. 사회주의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