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늬 없는 토기

무늬 없는 토기

[ 無文土器 ]

시대명 청동기

민무늬토기라고도 부르며 의 빗살무늬 토기에 대비시켜 부르는 말. 갈색 또는 황갈색을 띠며 무늬가 없고 밑부분이 평평한 모양이다. 무늬가 없다는 점에서 빗살무늬와 비교되는 의 토기이다. 장석이나 석영 입자와 같은 화강암계의 굵은 모래가 섞인 태토로 구웠다. 빗살무늬 토기와 마찬가지로 손으로 빚어 만들었고 노천요에서 구웠으나 무늬 없는 토기를 만들어 사용하던 사람들은 신석기인들에 비해 우수한 청동기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높은 생산력을 바탕으로 빗살무늬 토기보다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토기를 만들어 사용했다. 토기의 용도는 크게 일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과 무덤에 껴묻거리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구분된다.

무늬 없는 토기는 각 지역마다 세력을 형성하고 있던 집단의 독특한 문화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청천강 이남의 대동강 지역과 재령강 유역을 중심으로 강화도까지 분포하는 각형 토기, 압록강 중상류 지역에 분포하는 공귀리식 토기, 청천강 이북·압록강 하류·송화강·중국 동북지방에 분포하는 미송리식 토기, 함경도 일대에 분포하는 꼭지 손잡이가 달린 심발형 토기 및 두형 토기, 충청남도와 전라도에 분포하는 송국리식 토기 등이 있다. 이러한 각 지역의 독특한 토기문화는 서로 일정하게 지역적인 문화교류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동의어

민무늬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