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계월

묵계월

[ 墨桂月 ]

요약 성악가(민요). 경기명창. 중요무형문화재(重要無形文化財) 제57호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본명은 이경옥(李瓊玉). 호는 지운(芝雲). 서울 중구 광희동 출생. 한국민요연구회(韓國民謠研究會)의 회원.
출생 1921년
묵계월

11세 때 수양어머니 이정숙을 만나 묵계월로 인생이 바뀌었다. 양어머니에게 1년 동안 여창 지름시조과 "권주가"(勸酒歌)를 배웠다.

13세 동기(童妓) 때 조선권번(朝鮮券番) 소속 주수봉(朱壽奉)에게 경기12잡가를, 최정식(崔貞植)에게 서도창(西道唱)과 민요를 배웠다. 송서(誦書)로 유명한 이문원(李文源)에게 "삼설기"(三說記)를, 그리고 하규일(河圭一)에게 가곡(歌曲)과 정재(呈才)를 배웠다. 16세 때부터 서울 장안의 대가집 사랑채 놀음에 불려 다녔다.

1938~1940년 최수성·황순자와 함께 경기가요(京畿歌謠) "경복궁타령"·"경산염불"(京山念佛)을 포함한 10여 곡의 민요를 방송하기 위해 경성방송국(京城放送局)에 출연했다. 1940년 6월 19~20일 조선예흥사(朝鮮藝興社) 주최 「조선음악전」 때 심상건·강장원·정광수 등과 함께 출연하였다. 1930년대 유명한 여류명창 곽명월·김옥엽·박부용 등과 함께 활동했다.

광복 이후 안비취·이소향·이은주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1960년대 "산염불"(山念佛)·"영변가"(寧邊歌)·"긴난봉가"·"자진난봉가" 등의 서도민요와 "청춘가"·"노래가락"·"긴아리랑"·"금강산타령"·"제전" 등의 경서도민요를 킹스타레코드에, 그리고 "천안삼거리"·"노들강변"·"아리랑" 등의 경기민요를 신세계레코드에 취입했다.

1968년 성음사 제작의 『민요삼천리』(民謠三千里)라는 LP음반전집에 김옥심과 더불어 경서도민요 전부를 취입했다. 1973년 신세계레코드사가 제작한 LP음반 3매(민-4001~4003)의 『한국민요특선집』을 이은주와 함께 이충선(피리허상복(젓대)·성금련(가야고)·지영희(해금)·서공철(아쟁이정업(장구)의 반주로 취입했다. 1971년 이은주·안비취·김옥심 등과 함께 민요연구회를 만들었다. 1975년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예능보유자로 지정됐다. 제자로 유의호·임정란·고주랑·임수연 등이 있다.

1976년 12월 문화재관리국과 문화재보호협회가 공동 제작한 『한국의 음악』에 경기잡가(京畿雜歌)를 취입했고, 1977년 6월 7일 제4회 선소리 산타령, 경기12잡가발표회가 열렸을 때, 9월 6일 제4회 중요무형문화재발표회 때, 1978년 4월 28일 세종문화회관 개관기념 「민요와 배뱅이굿」 공연 때, 6월 10~12일 민요대잔치의 경기민요 공연 때, 1979년 9월 26일 제2회 무형문화재 정기공연 때, 10월 21일 제10회 중요무형문화재 경기민요 발표공연 때, 1981년 10월 26일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때, 1983년 5월 6일 국악대공연 때, 1988년 2월 16일~3월 16일 국립국악원 개관기념 공연 때, 3월 16~29일 국립국악원 신축청사 개관기념 대공연 때, 1990년 6월 1일 황용주 선소리 산타령 발표회 때 출연했고, 10월 13일 호암아트홀에서 경기민요 60년 기념음악회를 열었으며, 1991년 3월 14일 충남국악관현악단 창단연주회 때, 6월 21일 경기도 문화예술진흥원 개관기념 국악의 향기 때, 6월 27일 명창·명무 한마당 명인전 때, 9월 5일 이은주 선생 고희기념 축하무대 때, 10월 26일 중요무형문화재 발표회 때, 1992년 3월 5일 KBS국악관현악단 제47회 정기연주회 때, 3월 8일 고(故) 국악선열추모 92범국악인 자선대공연 때, 5월 8일 국립국악원 제11회 국악대공연 때, 10월 19일 제23회 중요무형문화재 무대종목 발표공연 때, 12월 5일 제30회 FM국악무대 92FM명인전 때 출연했고, 1993년 5월 8일 어버이날 경축국악연주회 때, 그리고 12월 20일 대악회 창립20주년기념 무형문화재 무대종목 대제전 때, 1994년 4월 3일 94일요명인·명창전: 임정란 때, 6월 12일 제9회 고성농요 발표공연 때, 8월 14일 광복50주년 맞이 통일민요대축제 때, 8월 28일 제10회 선소리 산타령 발표회 때, 11월 1일 조경희의 경기민요 발표회 때, 11월 13일 일요명인·명창전: 지화자 때, 11월 18일 94연강 명인전: 묵계월·이은주의 밤 때, 11월 25일 중요무형문화재 지정30주년 기념 국악대제전 때, 12월 1일 경상북도립국악단 창단2주년기념 송년국악연주회 때, 그리고 12월 15일 제25회 중요무형문화재 무대종목 공연 때, 1995년 7월 3일 민선도지사취임 경축공연 때 출연했고, 9월 16일 65년간의 소리인생을 마감하는 은퇴무대를 열었다.

1996년 4월 14일 주말민속공연 때, 5월 31일 서울·평양의 책 읽는 법 공연 때, 6월 23일 제11회 고성농요 현지 발표공연 때, 8월 23일 인간문화재 이은주 선생 75년 소리의 길 공연 때, 10월 24일 제27회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때, 11월 21일 경기도립국악단 창단연주회 때, 1997년 6월 21일 97문화의 해: 전통놀이마당 공연 때, 6월 27일 인간문화재 페스티벌: 경기민요 공연 때, 10월 13일 제5회 국악한마당 큰잔치 때, 11월 14일 인간문화재 제전 때, 12월 1일 서울중요무형문화재 전수회관 개관 기념공연 때, 12월 16일 송년음악회 때, 1998년 1월 28일과 1월 29일 설맞이 민속놀이 한마당 때, 3월 24일 경기산타령 발표회 때, 4월 18일 중요무형문화재 마당종목 발표공연 때, 10월 6일 한가위축제 때, 10월 14일 대악회 제25회 정기공연: 중요무형문화재 대제전 때, 11월 1~2일 제29회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때 출연하였다. 1999년 9월 13일 중요무형문화재 국악대제전 때, 11월 27일 경기소리 및 삼설기 발표회 때 출연하였다.

1968년 4월 국악협회(國樂協會)의 제1회 세종국악상(世宗國樂賞)을 수상했다. 1974년 중요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로 지정됐다. 1992년 11월 11일 한국국악협회 제11회 국악대상(國樂大賞)을, 1995년 12월 27일 95KBS국악대상 특별공로상을, 2004년 11월 19일 제11회 방일영국악상(方一榮國樂賞)을 각각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 『한겨레음악인대사전』 宋芳松, 서울: 보고사, 2012년, 306~30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