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광수

정광수

[ 鄭珖秀 ]

요약 성악가(판소리). 중요무형문화재(重要無形文化財) 제5호 판소리 수궁가(水宮歌)의 예능보유자. 판소리명창. 본명은 정용훈. 정창업(丁昌業)의 손자. 전남 나주군 공산면 복룡리 출생.
출생 - 사망 1909년 ~ 2003년
정광수

7세 때부터 할아버지에게 흥보가·심청가를 배웠다. 김봉학(金鳳鶴)에게 5년 동안 판소리를 배운 후 유성준(劉成俊)·정응민(鄭應珉)·이동백(李東伯)에게 사사했다. 1925년 김창환(金昌煥)의 문하에서 5년간 춘향가·흥보가·심청가·수궁가·적벽가를 배웠다. 목포예기권번(木浦藝妓券番)에서 소리선생으로 활동하다가 28세 때 전남 순천권번(順天券番)의 소리선생이 되었다.

1934년 진주권번(晉州券番)의 소리선생 유성준(劉成俊)에게 수궁가와 적벽가를 배웠다. 1935년 상경하여 이동백(李東伯)에게 적벽가를 학습했으며, 장흥 보림사(寶林寺)와 벌교 부용사(芙蓉寺)에서 독공으로 일가를 이루었다. 1935년 임종원(林宗元)이 창단한 대동창극단(大東唱劇團)에서 강남중·신영채·홍갑수 등과 함께 주로 삼남(三南)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1936년 2월 조선성악연구회(朝鮮聲樂研究會)의 직속단체로 창극좌(唱劇座)가 창단됐을 때 강태홍·김세준·김연수 등과 함께 창극활동을 전개하였다. 1939년 하창춘이 창단한 동일창극단(東一唱劇團) 주최 "일목장군"(一目將軍) 공연 때 그는 안기옥·오태석·임방울 등과 함께 출연하였다.

1940년 6월 19~20일 조선예흥사(朝鮮藝興社) 주최로 조선음악전 때, 심상건·강장원·김준영 등과 함께 출연했다. 1941년 박종기(朴鍾基)와 함께 농민음악·창극조 방송을 위해 경성방송국(京城放送局)에 출연하였다. 1941년 동일창극단에서 임방울·박초월·조상선·강남중 등과 함께 창극활동을 벌였고, 평북 신의주 공연 때 광복을 맞았다.

해방 직후 대한국악원(大韓國樂院)의 창극단에서 오태석·백점봉·조상선 등과 함께 활동했다. 1943년 9월 제일극장에서 이운방(李雲芳)의 창작 창극 "남강의 풍운"으로 동일창극단(東一唱劇團)의 창단공연을 가졌을 때 안기옥·오태석·임방울 등과 함께 출연하였다. 일제강점기 극단 신협이 공연한 희곡(戲曲)을 윤색하여 창극화시킨 고려성 작, 박진 연출의 "왕자호동"(王子好童)이 1948년 조선창극단(朝鮮唱劇團) 주최로 서울에서 초연됐을 때, 대무신왕 역을 맡은 그는 신영채(호동왕자)·안태식(최리왕)·강산월(낙랑공주) 등과 함께 출연했고, 조몽실·신영채·조동선 등과 함께 창작 사극 "논개"와 "왕자호동"을 공연하였다.

1952년 광주국악원(光州國樂院) 및 1955년 삼남국악원(三南國樂院)을 창설했다. 1960년 출범한 국악예술학교(國樂藝術學校)의 교장인 박헌봉(朴憲鳳), 실기교사인 지영희·이병우·성금련 등과 함께 후진을 양성했다. 1964년 12월 24일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수궁가의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1973년 판소리 및 민속예술의 보존과 전승을 위해 판소리보존연구회를 설립했다. 1976년 12월 문화재관리국과 문화재보호협회가 공동 제작한 『한국의 음악』에서 판소리 수궁가를 취입했다. 1979년 10월 16일 제10회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수궁가 발표공연 때 출연하였다. 1981년 10월 26일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때 수궁가를 공연했고, 1982년 11월 3일 제13회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때 출연하였다. 1990년 제5호 수궁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됐으며, 제자로 김영자·윤충일·정옥자 등이 있다.

1990년 4월 10~16일 제21회 중요무형문화재 춘계발표회 때 출연했고, 1992년 12월 7일 판소리 유파발표회 때 출연했다. 1994년 12월 6일 제24회 판소리유파 발표회 때, 그리고 12월 13일 중요무형문화재 무대종목 공연 때 출연하였다. 1995년 12월 13일 서울두레 개관기념공연 때 심청가를 공연했으며, 1999년 12월 11일 국립창극단 송년대향연 때 출연하였다.

1995년 11월 2일 제5회 동리대상시상식에서 수상했고, 2000년 11월 10일 제7회 방일영국악상(方一榮國樂賞)을 수상했다. 2002년 5월 사단법인 정광수 원형 판소리보존연구원을 발족했을 때 이사장이었다.

참고문헌

  • 『한겨레음악인대사전』 宋芳松, 서울: 보고사, 2012년, 788~8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