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동 유적

고강동 유적

[ 富川 古康洞 遺蹟 ]

지역 부천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고강본동과 작동의 장갯마을 뒷산 일대에 위치한다. 1995년 여름 홍수로 유물이 드러나 발견되었으며 학술조사의 일환으로 1996년부터 2002년까지 한양대학교박물관과 문화인류학과가 5차례 발굴조사하였다. 일대는 낮은 구릉지 사이로 평야가 펼쳐져 있는데 유적은 구릉 정상부의 평탄지에 입지한다. 현재까지의 조사 결과 경인고속도로 북쪽(A지구) 해발 68.9m의 주능선부를 따라 완형의 집자리〔住居址〕 7기와 파괴된 집자리 1기가 조사되었으며, 남쪽(B지구) 해발 91.9m의 구릉 정상부를 중심으로 집자리 3기와 청동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에 이르는 적석유구(積石遺構)와 원형도랑유구〔環溝遺構〕, 돌덧널무덤〔石槨墓〕 6기가 조사되었고, 구릉의 사면에서 돌덧널무덤 4기가 조사되었으며 그 밖에 통일신라시대 돌덧널무덤 10기 등이 확인되었다.

부천 고강동 유적 원형도랑유구 평단면도

부천 고강동 유적 원형도랑유구 평단면도

유적내 출토유물

유적내 출토유물

집자리는 구릉정상의 평탄대지 혹은 사면에 입지하며, 장축방향은 등고선과 평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일부는 등고선과 직각을 이루기도 한다. 평면형태는 세장방형, 말각방형, 장방형이며, 가장 큰 13호의 크기는 1,870×350×60㎝이다. 대부분의 면적은 20∼30㎡의 범위에 속하나 7호, 10호, 13호와 같이 60㎡가 넘는 대형도 있다.

바닥은 생토면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일부는 점토로 다졌다. 화덕자리〔爐址〕가 발견된 집자리는 8호와 10호인데 바닥을 그대로 사용한 무시설식(無施設式)이거나 약간 굴토하여 사용한 구덩식〔竪穴式〕이다. 기둥구멍〔柱穴〕은 1호와 2호에서 확인된다.

유물은 토기류의 경우 골아가리구멍무늬토기〔口脣刻目孔列文土器〕, 구멍무늬토기, 붉은간토기〔丹塗磨硏土器〕 등의 민무늬토기〔無文土器〕가 대부분이나 덧띠토기〔粘土帶土器〕가 출토된 경우도 있다. 석기는 물고기모양〔魚形〕 및 배모양〔舟形〕 반달돌칼〔半月形石刀〕, 바퀴날도끼〔環狀石斧〕, 톱니날도끼〔星形石斧〕, 가락바퀴〔紡錘車〕, 간돌도끼〔磨製石斧〕, 대팻날도끼〔扁平偏刃石斧〕, 간돌검〔磨製石劍〕, 일단슴베있는돌창〔一段有莖式石槍〕, 돌끌〔石鑿〕, 일단 및 이단슴베있는돌화살촉〔一段, 二段有莖式石鏃〕, 삼각만입돌화살촉〔三角灣入石鏃〕 등과 옥으로 만든 치레걸이〔玉製 裝身貝〕, 흙으로 만든 그물추〔土製 漁網錘〕 등 매우 다양한데, 그 중 8기의 집자리에서 반달돌칼이 출토되었다.

적석유구는 해발고도 91.6m의 B지구 최정상부에 위치한다. 중심에 적석시설이 있고, 이를 중심으로 단면 반원형의 도랑〔溝〕이 돌아간다. 적석유구는 남북 600㎝, 동서 600㎝의 방형으로 중심부와 가장자리의 높이는 약 40∼50㎝의 차이를 두고 중심부가 다소 불룩한 형태를 보인다. 하부토층의 양상과 토층에서 출토되는 민무늬토기편으로 보아 적석유구는 원지형 위에 쌓은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세 차례에 걸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원형도랑유구는 적석유구를 중심으로 산사면을 따라 일정하게 원형의 형태로 돌아가고 있으며 지름이 약 30m 내외이다. 북쪽으로는 소규모의 휘어진 도랑이 이중으로 돌아가고 있는 형태를 보인다. 도랑의 서쪽 일부는 끊어져 있어서 입구 시설로 생각된다. 적석유구의 중심에서부터 원형도랑유구까지의 거리는 약 10m 내외로 정형성을 보이고 있으며, 소형 도랑을 제외한 도랑의 길이는 약 63m에 달한다. 전체적인 도랑의 단면은 ‘U’자형으로 깊이는 약 80∼100㎝ 정도이다. 적석유구에서는 민무늬토기편 몇 점이 출토되었고, 원형도랑유구에서는 구멍무늬토기, 골아가리무늬토기, 덧띠토기, 제기형토기(祭器形土器), 환형손잡이〔環形把手〕편 등이 출토되었다.

고강동 유적의 집자리는 전체적으로 한강유역에 나타나는 청동기시대 집자리와 공통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주목할 것은 적석유구와 원형도랑유구이다. 적석유구와 원형도랑유구는 산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는 입지적 특성과 소위 제기형토기가 출토되며 도랑의 바닥면에 불탄흙〔燒土〕의 흔적이 남아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제사유적(祭祀遺蹟)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보고자는 산 정상부에 취락 공동의 제의행위가 이루어지는 공공장소가 위치하고, 이 곳을 중심으로 사면을 따라 취락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방사성탄소연대측정 결과 덧띠토기와 제기형토기가 출토된 원형도랑유구 윗층인 흑갈색 부식토에서 수습된 목탄의 연대는 1750±80 B.P.(보정연대 A.D. 110년∼450년)이고 10호와 12호 집자리에서 수습된 목탄의 연대는 2690±50 B.P., 2910±70 B.P.(보정연대 B.C. 930~B.C. 790, B.C. 1310~B.C. 900)로 나왔다. (안신원)

참고문헌

  • 부천 고강동 선사유적 제1∼5차 발굴조사 보고서(한양대학교박물관·문화인류학과·문화재연구소, 1996년 ∼ 200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