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간토기

붉은간토기

부여 송국리 출토 사발모양 붉은간토기

부여 송국리 출토 사발모양 붉은간토기

토기의 성형이 완료된 뒤 토기의 표면에 산화철(酸化鐵)의 액체를 바르고 매끄러운 도구로써 문질러 소성한 토기를 말한다. 산화철은 고온에서 붉은색으로 발색되며, 토기의 표면을 갈면 광택을 띠게 된다. 이러한 기법은 신석기시대의 산화철만을 도포(塗布)한 것이나 산화철이 녹은 점토를 토기 표면표면에 바른 것과는 다른 계통으로서, 한반도 동북계통의 청동기시대 문화요소로 알려져 왔다.

붉은간토기는 무덤의 껴묻거리〔副葬品〕로서 출토되는 예가 많아 의례용기(儀禮容器)로 인식되고 있다. 한반도에서 가장 이른 것으로는 평북 세죽리 유적이나 함북 호곡동 유적의 굽달린바리〔臺附鉢形〕 붉은간토기로서, 중국 동북지역의 궤(寬)라는 제기(祭器)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북한의 굽달린바리는 남한에 와서는 굽달린항아리〔臺附壺〕로 변하고 굽의 다리부분〔臺脚部〕은 점차 원통형의 높은 굽다리접시〔高杯〕의 다리처럼 변화한다. 이러한 굽달린작은항아리는 전기 후반에 와서 사라지게 되는데, 주로 집자리〔住居址〕에서 출토되는 양상이 특징이다.

남강댐 수몰지구 출토 깊은바리모양 붉은간토기

남강댐 수몰지구 출토 깊은바리모양 붉은간토기

민무늬토기시대〔無文土器時代〕 전기 후반부터 붉은간토기는 남한 지역의 지역색이 나타나게 된다. 그 기종은 저부의 형태가 축약된 민무늬토기형과 말각의 편평바닥〔平底〕 또는 둥근바닥〔圓低〕을 띠는 전형(典型)적인 형태로 분류되는데, 민무늬토기형은 민무늬토기처럼 다양한 기종으로 제작되며 집자리에서, 전형은 항아리모양으로 무덤에서 주로 출토되는 경향이 많다.

특히 전형의 항아리는 기벽이 얇고 바탕흙〔胎土〕이 정선되었으며 축약된 저부가 아니라는 점에서 일상용기인 민무늬토기와는 구분된 정제토기(精製土器)로서 역시 제의용기라고 생각된다. 전형은 중기까지 지속되며, 집자리에서 출토되는 경우도 있으나, 무덤에 껴묻기되는 용기로서 항상 선택되고 있다.

진안 모정리 유적Ⅰ 출토 항아리모양 붉은간토기

진안 모정리 유적Ⅰ 출토 항아리모양 붉은간토기

전형은 대형, 소형 항아리로 분류되며, 다시 목과 동체부의 형태를 통하여 세분되어 편년되어 왔다. 목은 긴목에서 중간목을 거쳐 짧은목으로 변화하며, 이것과 결부하여 직립(直立)하는 목에서 내경(內傾)하는 목으로, 다시 외반구연(外反口緣)의 과정을 거친다고 한다. 동체부는 편평바닥과 둥근바닥, 그리고 횡구형과 구형 등과 동최대경의 위치에 따라 편년하고 있지만, 목의 편년보다는 명확하지 못한 문제가 남아있다.

최근의 발굴성과에서, 긴목항아리〔長頸壺〕와 목이 없는 외반구연의 항아리가 공반되기도 하며, 형식은 긴목항아리임에도 불구하고 후기의 검은간토기〔黑色磨硏土器〕 기법을 채용한 부여 구봉리 유적의 예와 내경하는 목의 항아리가 영남지역에 한정되어 분포하는 지역성 등을 고려한다면, 다양한 형태의 목은 하나의 계열이 아니라 각각 독립된 다원적 계열임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굴포리 유적 7기층에서는 민무늬토기형의 긴목항아리 붉은간토기가 출토되었는데, 같은 형식이 산청 소남리 유적의 집자리에서도 출토되었다. 이 집자리에서는 마디모양덧띠무늬〔節狀突帶文〕의 토기가 공반되었는데, 전기 전반으로 편년되는 것이다. 이 토기가 직립구연이며, 축약 저부인 점에서는 외반구연이며 말각 편평바닥인 전형 긴목항아리 붉은간토기와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인 형태와 시기적 선후관계에서 동일계보에 둘 수가 있다고 생각된다.

백석동 유적 출토 굽달린바리모양 붉은간토기

백석동 유적 출토 굽달린바리모양 붉은간토기

내경하는 목의 전형 항아리모양 붉은간토기는 대구 대봉동 고인돌〔支石墓〕의 긴목항아리와 창원 외동리 고인돌의 중간목항아리가 있다. 그 중에서 긴목항아리는 전기 후반의 늦은 시기에 편년되어 왔는데, 이것은 직립하는 목의 전형 긴목항아리 붉은간토기의 변화형인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목이 내경하는 중간목항아리는 중기 전반의 영남지역에만 보이는 것이고, 전술한 긴목항아리도 영남지역에서 출토되기 때문에 이 양자의 시간 서열은 명백하지만, 영남에서 지역화한 형태라는 의미에서 기존의 학설처럼 목이 직립하는 긴목항아리에서 발전된 것이 아닌 또 다른 계통일 가능성도 남기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 하나의 특이한 전형적인 붉은간토기는 부여 송국리 유적에서 보이는 플라스크모양항아리이다. 지금까지는 중기 후반의 중서부지역 집자리에서만 검출된다는 점이 다른 전형 붉은간토기와는 구분된다. 이 토기의 기원은 동체부의 기형만으로 본다면 북한의 미송리형토기(美松里型土器)에서 찾기도 한다. 또한 최근 중국 리야오닝성(遼寧省)의 타이즈허(太子河) 상류에 위치하는 씬빈만주쯔즈취(新賓滿族自治縣) 도옹셩(東升) 동굴유적에서 출토된 붉은간토기의 영향일 가능성도 있다. 이 유적은 싸앙쪼우시대(商周時代)에서 춘치우시대(春秋時代)의 사이로 편년되는데, 토기는 가지무늬〔彩文〕가 있어서 한반도와 깊은 관련을 시사하며 전체 형태상에서 부여 송국리 유적의 플라스크모양토기와 관련성이 깊다고 생각된다. (안재호)

참고문헌

  • 영남지방 단도마연토기의 편년(하인수, 영남고고학 10, 1992년)
  • 적색마연토기의 출현과 송국리식토기(안재호, 한국고고학회총서 2, 2003년)

동의어

단도마연토기(丹塗磨硏土器), 적색마연토기(赤色磨硏土器)

참조어

간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