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토기

간토기

검은색, 붉은색의 간토기(남강댐 수몰지구 출토)

검은색, 붉은색의 간토기(남강댐 수몰지구 출토)

토기의 표면을 매끄러운 도구로써 문지른 후에 구운 토기를 말하는데, 붉은간토기〔丹塗磨硏土器〕와 검은간토기〔黑色磨硏土器〕, 갈색간토기〔褐色磨硏土器〕로 분류된다. 갈기기법으로 토기의 표면에는 얇은 막의 층을 형성하게 되는 바, 표면이 매끄러워 용기로서의 기능이 높아지고 흡수율도 낮출 수 있게 된다. 간토기는 일반의 물손질로 제작된 토기보다는 대체로 점토가 정선되었고, 제작기법도 치밀하여 정제토기(精製土器)로 분류되기도 한다.

토기의 성형이 완료된 뒤 토기의 표면에 산화철(酸化鐵)의 액체를 바르고 매끄러운 도구로써 문질러 소성한 토기를 말한다. 이때 산화철은 고온에서 붉은색으로 발색되며, 도구의 갈기기법을 통하여 토기의 표면에는 입자가 고운 점토가 부상하여 광택을 띠게 된다. 이러한 적색마연기법은 신석기시대의 산화철만을 도포(塗布)한 것이나 산화철이 녹은 점토를 토기 표면에 발라 마연한 것과는 다른 계통으로서, 한반도 동북계통의 청동기시대 문화요소로 알려져 왔다.

검은간토기는 흑색을 띠는 광물질을 바른 후 간 것으로 표면에는 광택이 나며, 일반적인 민무늬토기〔無文土器〕에 비해 정선된 바탕흙〔胎土〕을 사용하였다. ‘흑도장경호(黑陶長頸壺)’, ‘흑색마연장경호(黑色磨硏長頸壺)’, ‘흑도(黑陶)’, ‘평저장경호(平底長頸壺)’ 등으로도 불린다. 몸체에 비해 목이 길고 구연부는 약간 밖으로 벌어져 있으며, 저부에는 굽이 있다. 한반도 중부 이남에서 단면 원형덧띠토기〔圓形粘土帶土器〕와 함께 출토되며, 대전 괴정동·아산 남성리 등이 대표적인 유적이다. 원형덧띠토기, 굽달린접시모양토기〔豆形土器〕 등과 함께 중국 리야오닝(遼寧)지역의 영향을 받았다.

민무늬토기 가운데에는 검은간토기 긴목항아리〔長頸壺〕 외에도 흑색을 띠면서 표면이 갈린 토기들이 있다. 두만강유역에서는 소형의 토기를 중심으로 검은간토기가 흔히 출토되는데, 기종으로는 시루〔甑〕, 굽달린접시모양토기, 사발모양토기〔燔形土器〕 등이다. 압록강유역에서는 겹아가리토기〔二重口緣土器〕와 미송리형토기(美松里型土器)가 해당되며, 강계 퐁룡동 유적에서는 미송리형토기의 변형으로 보이는 검은간토기 손잡이달린긴목항아리〔黑色磨硏把手附長頸壺〕가 출토되었다.

갈색간토기는 주로 북한의 동북지역과 서북지역에서 출토된다. 동북지역의 경우 깊은바리모양토기〔深鉢形土器〕, 독모양토기〔甕形土器〕, 사발모양토기가 해당되며, 시기는 호곡Ⅰ기의 굽달린토기〔臺附土器〕가 간토기인 점으로 보아 청동기시대의 시작부터 간토기가 출토됨을 알 수 있다. 서북지역에서는 주로 미송리형토기에 갈기기법이 보편적으로 채용되었으며, 공귀리 유적에서 출토된 얕은바리모양토기〔淺鉢形土器〕 가운데에도 간토기가 있다. 또 천안 백석동 유적에서도 갈색간토기가 출토되고 있어 남한에서도 흔암리유형(欣岩里類型) 단계부터는 붉은간토기가 아닌 일반 민무늬토기에도 갈기기법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배진성)

참고문헌

  • 흑도(노혁진, 한국사론 17 -한국의 고고학Ⅵ-, 1987년)
  • 적색마연토기의 출현과 송국리식토기(안재호, 한국고고학회총서 2, 2003년)
  • 한국의 선·원사토기(국립중앙박물관, 1993년)

동의어

마연토기(磨硏土器)

참조어

갈색마연토기(褐色磨硏土器), 흑색마연토기(黑色磨硏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