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잡이

손잡이

미송리식토기의 다리모양손잡이

미송리식토기의 다리모양손잡이

토기에 부착되어 손으로 쥘 수 있게 된 부분을 말한다. 그렇지만 민무늬토기〔無文土器〕의 손잡이는 원래 그러한 기능을 가지고 있었으나 퇴화되어 흔적만 남은 경우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꼭지〔乳〕, 돌기〔瘤〕, 귀〔耳〕라고 하여 구분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기능성 여부를 명확히 구분하기가 힘든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손잡이의 기능이 없는 꼭지도 넓은 의미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경우가 많다.

민무늬토기의 손잡이는 중국 동북지방의 청동기시대 토기에서 매우 발달하였고, 그 지역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다수 확인된다. 반면에 남부지역에서는 유례가 드문 편이다. 또한 지역에 따라 손잡이의 모양에서 차이가 있어 민무늬토기의 지역성 구분에 좋은 자료가 되기도 한다.

경주 황성동 출토 깊은바리모양토기의 꼭지모양손잡이

경주 황성동 출토 깊은바리모양토기의 꼭지모양손잡이

서북한지역은 중국 동북지역 민무늬토기의 손잡이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손잡이는 다리모양〔橋狀〕과 그루터기모양〔棒狀〕, 젖꼭지모양〔乳狀〕 등이 있다. 다리모양손잡이는 미송리식 토기에서는 주로 가로로 부착되고, 공귀리식토기에서는 세로로 부착된다. 그루터기 모양의 손잡이는 주로 미송리식 토기와 비교적 큰 단지에 붙는 경우가 많다. 꼭지 모양 손잡이는 소형의 보시기나 바리 종류의 그릇에 주로 붙는다. 손잡이가 달린 민무늬토기가 출토된 주요 유적으로는 의주 미송리, 룡천 신암리, 강계 공귀리, 시중 심귀리, 녕변 세죽리 유적 등이 대표적이다.

동북한지역은 서북한지역과는 달리 다리 모양 손잡이는 드물고, 주로 그루터기 모양과 꼭지모양, 혓바닥모양〔舌形〕이 많다. 무산 호곡동, 회령 오동, 영흥 금야, 북청 중리 유적 등이 있다.

남부지역의 경우 전기와 중기에는 손잡이가 달린 민무늬토기는 비교적 드문 편이지만, 전기의 청주 용정동, 익산 영등동 유적에서 꼭지 모양 손잡이가 달린 토기가 출토되었고, 영남지방에서는 대체로 전기에서 중기유적에 까지도 종종 출토되는 양상을 보인다. 중기의 울산 검단리 유적과 양산 신평 유적 등지에서 꼭지모양과 혓바닥 모양 손잡이가 달린 것이 있다. 후기의 한국식동검 문화기에는 고리모양〔半環形〕과 조합식 소뿔모양〔組合牛角形〕 손잡이가 검은긴목항아리〔黑陶長頸壺〕, 항아리 등에 부착되며, 원형 덧띠토기〔圓形 粘土帶土器〕에는 작은 꼭지가 부착되기도 한다.

그러다가 철기가 사용되는 시기에는 고리 모양 손잡이는 사라지고, 소뿔 모양 손잡이가 매우 유행하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는 대체로 북부지역과 관련이 깊은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영남의 전기 유적에서 보이는 구연부 직하에 붙은 꼭지형이나, 중기 유적에서 단면이 횡타원형을 띠는 손잡이 등은 마디모양덧띠무늬토기〔節狀突帶文土器〕가 축소되어 나타난 것일 가능성도 있다. (이재현)

참고문헌

  • 무문토기 형식분류 시고(윤무병, 진단학보39. 진단학회, 1975년)
  • 경기도 출토 무문토기 마제석기-토기 편년을 중심으로-(이백규, 고고학3. 한국고고학회, 1974년)

동의어

파수(把手)

참조어

교상횡이파수(橋狀橫耳杷手), 그루터기모양손잡이, 꼭지, 다리모양손잡이, 교상파수(橋狀把手), 봉상파수(棒狀把手), 설상파수(舌狀把手), 유두상파수(乳頭狀杷手), 젖꼭지모양손잡이, 혀모양손잡이, 귀(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