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죽리 유적

세죽리 유적

[ 寧邊 細竹里 遺蹟 ]

지역 영변
출토 토기류

출토 토기류

평안북도 영변군 영변읍 세죽리에 있는 선사~고대 유적으로 청천강가의 하안충적층(河岸沖積層)에 있다. 1961년 홍수로 무너진 강가의 지층에서 유적을 찾아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에서 1962~63년에 걸쳐 2차례 발굴하였다. 발굴은 4개 지구에서 3개의 문화층이 확인되었고 집자리(住居址)는 27기가 나왔다.

아래로부터 1문화층은 신석기시대, 2문화층은 미송리-묵방리형(美松里-墨房里型)토기가 나오는 청동기시대 또는 고조선시기, 3문화층은 철기와 노끈무늬(繩蓆文) 토기가 나오는 고대 문화층으로 고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볼 수 있다.

신석기시대에 해당되는 1문화층에서는 집자리 1기(7호)와 포함층이 조사되었다. 움집터는 홍수에 일부 깎여나간 상태로 장축, 단축, 깊이가 4.5×3.5×0.7m 규모로 남아있다. 움집의 바닥은 진흙으로 다졌으며 중앙부에 화덕자리(爐址)가 있다. 집터 안에서는 띠무늬, 세모꼴무늬, 무지개무늬가 조합된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들이 출토되었다. 포함층에서는 몸통에 각이 져 있는 납작바닥의 바리형(鉢形) 토기에 생선뼈무늬(魚骨文)가 시문되어 있는 것이 출토되었고, 석기로는 갈판(碾石)과 발화석(發火石) 및 곱돌장식품 등이 출토되었다.

보고자들은 이 유적의 집터 안에서는 금탄리 1문화층의 유물들이 주로 출토되지만, 포함층에서는 금탄리 2문화층과 압록강 유역의 빗살무늬토기가 보이는데 이를 시기차이에서 오는 결과로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 시기구분도 움집 안은 B.C. 3000년기 전반기로, 포함층은 B.C. 3000년기 후반기로 편년하였다. 그리고 압록강 유역의 신석기문화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인용되어 왔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와 북한지역의 신석기 시기구분이 크게 바뀌면서 세죽리 유적에 대한 관점과 편년도 많이 달라지게 되었다. 즉 꼬불무늬(‘之’字文)가 출토된 미송리 유적의 연대를 신락 유적과 대비하여 B.C. 6000년기(신석기시대 전기)로 올려 잡게되자 세죽리 유적 1문화층도 상향 조정되어 신석기시대 중기 즉 B.C. 4000년기 후반에 넣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집터 밖의 포함층 연대는 B.C. 3000년기 전반(신석기시대 후기)에 편년되고 있다.

청동기시대에서 해당되는 2문화층에서 나온 집자리를 보면 네모꼴(方形) 평면의 움집으로 규모는 작은 편이다. 27호 집자리의 경우 길이, 깊이가 3.7×0.7m 정도이다. 27호 집자리는 10·28호 와 함께 청동기 시대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이고, 그 위에 6·24호 집자리가 놓였으며 가장 늦은 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4·20·23호 집자리가 있다. 이른 시기의 집자리에서는 덧 입술에 납작 바닥을 한 토기와 목이 달린 단지, 덧띠를 붙인 그릇들이 있다. 중간층에 있는 집자리에는 바리(鉢), 검은간토기(黑陶), 그리고 띠 손잡이 달린 그릇이 나왔다. 늦은 시기에 해당하는 집자리에서는 묵방리형토기와 회색 빛갈의 굽다리접시(高杯)가 나왔다. 석기로는 돌창(石槍), 돌화살촉(石鏃), 돌도끼(石斧), 반달돌칼(半月形石刀), 턱자귀(有段手斧), 홈자귀(有溝手斧), 달도끼(環狀石斧) 등이 있다. 2문화층의 연대는 B.C. 4세기 이전에 해당된다.

참고문헌

  • 세죽리 유적 발굴 중간 보고 1(김정문, 고고민속 1964-2, 1964년)
  • 세죽리 유적 발굴 중간 보고 2(김영우, 고고민속 1964-4, 1964년)
  • 평북도 박천군·녕변군의 유적 조사보고(고고학자료실, 문화유산 62-5, 196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