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간토기

검은간토기

[ 黑色磨硏土器 , 黑陶 ]

청동기시대부터 초기철기시대에 걸쳐 사용된 무문토기의 한 형식이다. 표면에 흑연 등의 광물질을 발라 마연(磨硏)하여 광택이 있는 검은색을 낸 장경호로 ‘흑도’, ‘검정토기’, ‘흑색토기’, ‘흑색마연토기’, ‘흑도장경호’, ‘흑색마연장경호(黑色磨硏長頸壺)’라고도 불리며, 기형을 중시하여 ‘평저장경호(平底長頸壺)’라고 부르는 연구자도 있다. 대부분 무덤에서 발견되고 있으나, 일부 집자리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조형은 요령(遼寧)지방의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 유적에서 출토되는 흑도장경호를 들 수 있다.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목이 긴 항아리가 주류를 이루며, 단면 원형의 점토띠토기(粘土帶土器)와 함께 중부 이남 후기무문토기의 대표적 기형이다. 말기에는 조합식의 쇠뿔손잡이(組合式牛角形把手)가 부착되어 원삼국시대 초기까지 잔존하며 이후 와질토기(瓦質土器)로 변화한다.

대표적인 유적은 대전 괴정동(槐亭洞), 청원 비하리(飛下里), 아산 남성리(南城里) 등 충청도 지방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형적인 검은간토기는 북한지방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소위 미송리식토기(美松里式土器) 또는 묵방리식토기(墨房里式土器)라 하는 것의 표면이 흑색인 것이 있어 주목되며, 평북 강계 풍룡동(豊龍洞)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환이파수부(環耳把手附) 목긴항아리 1점이 알려져 있다. 이들 출토 예로 보아 검은간토기는 청동기시대 무문토기시대 전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이해된다.

검은간토기에 대해 한상인은 頸高/器高의 비에 따라 오래된 것일수록 기고에 비해 경고가 짧다고 지적하였으며, 최종규는 동체의 형태가 구형에서 양파모양으로 변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은 공반유물이나 형식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대체로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검은간토기 각종

검은간토기 각종

참고문헌

  • 圓形粘土帶土器文化硏究-湖西 및 湖南地方을 中心으로-(朴辰一, 釜山大 碩士學位論文, 2000년)
  • 韓國의 先·原史土器(國立中央博物館, 1993년)
  • 特別展 韓國의 靑銅器文化(國立中央博物館·國立光州博物館, 汎友社, 1992년)
  • 黑陶(盧爀眞, 韓國史論 17, 國史編纂委員會, 198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