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질토기

와질토기

[ 瓦質土器 ]

瓦質土器文化 前期의 土器群

瓦質土器文化 前期의 土器群

瓦質土器文化 後期의 土器群

瓦質土器文化 後期의 土器群

철기시대 토기의 한 종류로 회색 위주에 회흑색, 흑색 등의 색조를 띠며 단단하기가 기와와 비슷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회청색 경질토기보다 굽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경도가 약하여 흡수성이 강하며 바탕흙은 매우 고운 진흙을 사용하였다. 와질토기가 출토된 곳은 밀양 내이동, 울산 하대, 부산 노포동, 경주 조양동 등지로 낙동강 유역의 움무덤(土壙墓)계 유적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

이 토기는 부산·경남지방 출토 와질계토기를 근거로 웅천·김해문화기를 대표하며, 1~3세기경에 해당되고 낙랑계(樂浪系)의 한식토기(漢式土器)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서 발생되었다고 보고 있다. 즉 1~3세기대로 이해되었던 남부지방의 조개무지 유적들의 중심시기는 3~4세기이며 도질토기의 발생을 3세기 후반 내지 4세기 초로 보는 것이다.

와질토기는 고식 와질토기와 신식 와질토기로 분류된다. 고식 와질토기의 기형은 쇠뿔잡이항아리(組合式牛角形把手附壺), 둥근밑항아리(圓低短頸壺), 주머니호(小形甕) 등이 주류이고, 주로 널무덤(木棺墓)에서 출토되고 있다.

반면 신식 와질토기는 고식 와질토기와 동일한 제작기술의 전통 위에서 만들어지나 고식 와질토기에 비해 소성도가 점차 향상되며 성형·정면기법도 다양해진다, 그리고 굽다리항아리(臺附壺)의 몸체부에는 옻칠장식기법도 보이는데, 기형에는 굽다리목긴항아리(臺附長頸壺), 둥근밑항아리(圓底壺), 굽다리접시(臺附盌), 화로모양토기(爐形土器), 오리모양토기(鴨形土器) 등이 있고, 주로 덧널무덤(木槨墓)에서 출토되고 있다. 그리고 신식 와질토기는 2세기 후반에 출현하였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상과 같은 주장을 근거로 와질토기가 1-3세기를 대표한다는 소위 ‘와질토기론’이 주장되었으며, 이에 대한 반론도 제기되었다. 즉 이 토기가 거의 무덤에서만 발견되고, 앞 시대의 의기적 존재인 검은간토기(黑陶), 붉은간토기(紅陶), 그리고 적색마연목긴항아리를 조형으로 하고 있는 점과 기형, 태토질의 비실용성 등을 들어 그것이 검은간토기, 붉은간토기의 기능까지 이어 받은 철기시대의 제기, 부장토기적 특수토기로서 여성에 의한 가내생산품일 가능성이 지적되었다. 그리고 이 토기는 전문적인 남성 도공(陶工)들에 의해 생활실용품으로 대량 생산된 경질타날문토기와 공존하던 토기형식으로서, 실용토기를 ‘김해식 경질토기’라 한다면 이것은 ‘김해식 와질토기’라고 불러야 할 것이라고 주장되었다.

또한 와질토기는 김해식토기의 회청색계도기 중 연질도기에 해당되고, 김해기의 분묘에서 출토된 부장토기로서 한반도 동남부지역에서 분포, 김해기 이후 후대까지 사용되었으며, 와질과 도질의 한계가 불분명하다는 견해도 있었다. 그러나 와질토기론의 주장자들은 이에 반박하면서 와질토기가 한반도 중·남부지역에 확산되어 유행한 대표적인 토기임을 재삼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와질토기 논쟁에는 두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먼저 1-3세기에 과연 와질토기만 존재하였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 시기의 토기에 대하여 와질토기론의 주장자 사이에도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즉 이 시기에 와질토기 이외에도 연질토기, 즉 적갈색연질토기나 변형된 무문토기가 존재하고 있음을 시인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주장자는 고식 와질토기 단계에는 보이지 않으나, 신식 와질토기 단계에서는 조개무지에서 출토되는 적갈색연질토기의 존재를 인정한다. 결국 와질토기 이외에도 다른 토기가 있으나 그 존재가 미미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 와질토기 이외에도 진천 산수리·삼룡리 유적이나 해남 군곡리 조개무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성격을 가진 토기가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다음은 중부지역과 서남부지역에서도 와질토기가 대표적인 토기인가 하는 문제이다. 중부지역의 경우 많은 집자리 유적이 발굴된 바 있다. 이를 와질토기의 유적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실제로 와질토기에 가까운 회색연질토기가 보이나 그 기형이 전혀 다르며 또한 중부지역을 대표할 수 없다. 서남부지역에서도 군곡리 조개무지, 남원 세전리 유적 등지에서 전형적인 와질토기는 보이지 않고 경질무문토기, 회색연질토기, 회청색경질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따라서 와질토기가 영남지방에 주로 분포하는 철기시대의 토기임은 인정되나 1-3세기의 한국 중남부지역을 대표하는 토기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또한 이 토기의 명칭에 문제가 있음이 지적되면서 회(흑)색연질무문양토기, 회색연질토기 혹은 회백색연질토기 등으로도 불려진다.

참고문헌

  • 韓國의 先·原史土器(國立中央博物館, 1993년)
  • 原三國期 土器의 變遷과 問題點(崔盛洛, 嶺南考古學 5, 嶺南考古學會, 1989년)
  • 鐵器時代-土器(金暘玉, 韓國史論 17, 國史編纂委員會, 1987년)
  • 伽耶土器(李殷昌, 韓國史論 17, 國史編纂委員會, 1987년)
  • 釜山 久瑞洞出土의 瓦質土器(申敬澈, 嶺南考古學 2, 嶺南考古學會, 1986년)
  • 漢江流域 初期鐵器文化(安德任, 漢陽大碩士學位論文, 1985년)
  • 所謂 『瓦質土器』에 대하여-原三國 考古學上의 새 문제-(金元龍, 歷史學報 99·100, 1983년)

관련이미지

와질토기대부호

와질토기대부호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