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갈색연질토기

적갈색연질토기

[ 赤褐色軟質土器 ]

김해 조개무지에서 처음 발견되어 ‘적색소성토기(赤色素燒土器)’로 불려졌고, 나중에 ‘김해식타날문토기(金海式打捺文土器)’나 ‘적갈색김해식토기(赤褐色金海式土器)’로 불려진 토기이다. 이것은 웅천 조개무지에서 ‘적갈색연질토기’로 명명된 이후 대부분 보고서에서도 이를 따르고 있다. 이 토기의 특징은 기벽이 무문토기에 비해 얇고, 제작시 회전판(回轉板)이나 물레(陶車)를 사용하였으며 표면에 도박(陶拍)으로 두드린 타날문이 있다는 점이다. 기형도 항아리(壺), 시루(甑), 굽다리접시(高杯) 등 다양하며 한반도 중·남부지역에 고르게 분포되고 있다.

이 토기로 분류되는 것 중에는 타날문이 없는 대신에 빗질 등 정면수법(整面手法)만 보이는 것이 많다. 이런 토기를 김해 조개무지에서는 ‘적갈색김해식토기’라 부른 바 있는데 이는 타날문이 있는 토기보다도 경질무문토기(硬質無文土器)에 가깝다고 생각되어 ‘경질찰문토기(硬質擦文土器)’라 부르고 타날문이 있는 토기만을 ‘적갈색연질토기’라 부르기도 한다.

타날문이 있는 적갈색연질토기는 웅천 조개무지나 성산 조개무지에서 회청색경질토기(灰靑色硬質土器)와 공반되고 있는데, 두 토기의 차이는 다른 종류의 토기가 아니라 환원염(還元焰), 산화염(酸化焰)의 소성 차이로 해석되고 있다. 그러나 조도 조개무지의 경우 최하층에서 적갈색연질토기를 비롯하여 회색연질(灰色軟質)과 회색조질(灰色粗質)토기가 출토되고 있으며 회청색경질토기는 2층부터 출토되어 출현시기가 다름을 알 수 있다. 토기의 제작기술에 있어서도 환원염의 사용이나 소성도가 높은 토기가 늦게 등장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형을 살펴보면 우선 항아리류가 있다. 항아리모양토기란 동체(胴體)가 상부에서 축약되어 어깨부분이 있으며, 구경(口徑)과 동경(胴徑)이 거의 같은 배부르지 않아 체부가 구형(球形)보다는 난형(卵形)에 가까우며, 경부(頸部)의 직경이 동체부의 최대경보다 현저하게 작은 형태를 말한다. 이는 다시 납작바닥항아리, 둥근바닥항아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시루는 갸름한 난형의 동체부와 짧게 바라진 아가리를 가진 장란형(長卵形)으로 몸통 중간부분에는 모두 손잡이가 양쪽으로 붙었는데, 손잡이는 따로 만들어서 몸통에 구멍을 뚫어 밀어 넣어 붙이거나, 바로 붙이는 방법이 있는데 그 형태는 가운데가 뚫린 막대모양(棒狀), 쇠뿔모양(牛角形) 등이 있다. 바닥은 둥글고 10여 개의 둥근 구멍이 뚫렸는데, 거의 밖에서 안으로 눌러서 뚫었다.

굽다리접시는 입술부와 다리(脚部)·몸체(杯身)의 형태, 굽구멍(透窓)의 유무, 뚜껑의 유무 등에 의해 여러 형태로 구분되고 있다.

독(甕)은 아가리 지름에 비해 그릇 높이가 높고, 중배가 부른 토기로 높이가 50㎝를 넘는 것을 말한다. 이 형태의 토기는 갸름한 몸통이 아가리와 직접 연결되고 입지름이 몸통지름보다 크거나 비슷한 깊은바리모양(深鉢形)으로 목과 어깨부분이 없고 아가리가 외반되어 있는 것, 아가리의 직경과 몸통의 최대경이 별 차이가 없는 것, 아가리와 몸통의 최대경이 거의 같은 몸통이 장란형을 이루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바리모양토기는 기신(器身)이 낮고 아가리가 매우 넓은 형태로 아가리는 넓게 벌어져서 짧게 외반하거나 직립하며 바닥은 매우 넓은 형태이다.

이러한 적갈색연질토기의 개시연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의견이 분분한데 중부지역에서는 춘천 중도 유적에서 경질무문토기와 함께 등장하고 있어, 그 연대를 2세기로 보고 있고, 남부지역에서는 김해 지내동 독널무덤에서 경질무문토기와 함께 적갈색연질독(甕)이 발견되어 적어도 1세기 경으로 보고 있다.

참고문헌

  • 鐵器時代-土器(金暘玉, 韓國史論 17, 國史編纂委員會, 198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