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모양토기

바리모양토기

[ 鉢形土器 ]

남강 소남리 69호 출토 바리모양토기

남강 소남리 69호 출토 바리모양토기

편평한 바닥을 가지고 있고 목이 없으며, 바닥의 지름보다 아가리의 지름이 큰 토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높이 20㎝ 이상의 것을 깊은바리(深鉢), 그 이하의 것을 바리(鉢)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항아리형토기와는 목의 유무에 따라 구분된다. 일제시대에는 화분형토기라는 명칭으로도 불리기도 하였으나, 이후 낙랑지역에서 발견되는 화분형토기와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바리모양토기로 명명되었다.

형태만으로 보았을 때, 한반도 주변지역에서 가장 이른 바리모양토기는 신석기시대 전기 중국 동북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지자문토기(之字文土器)를 들 수 있으며, 함경북도 서포항 유적의 토기도 깊은바리모양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청동기시대의 토기 중 항아리형토기와 구분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윤무병은 구연부가 홑겹인지 이중인지를 기준으로 청동기시대의 바리형토기를 A류와 B류로 대별하고, 전자를 심발형토기, 구멍무늬토기, 꼭지손잡이토기로, 후자에 팽이형토기와 변형팽이형토기, 점토대토기, 화분형토기로 세분하였다.

전기청동기시대의 바리모양토기 중 가장 이른 것은 함경북도에서 보이는 깊은바리로서 아가리 끝부분이 외반되어 있고, 골아가리무늬(口脣刻目文) 또는 구멍무늬(孔列文)가 시문되기도 한다. 남한지역 전기청동기시대의 바리모양토기는 북한지역의 바리모양토기에 비해 아가리 부분이 곧게 서 있는데, 구연부의 모양에 따라 구멍무늬토기, 가락동식토기, 흔암리식토기로 구분되며, 골아가리무늬와 결합되는 경우도 많다. 이들 토기는 대개의 경우 깊은바리, 바리, 단도마연토기(丹塗磨硏土器), 항아리형토기(壺形土器)와 공반된다. 아가리 부위에 행하는 시문은 주로 깊은 바리에 국한되고 있고, 바리에 시문되는 경우는 드물다.

남한지역의 전기청동기시대의 바리모양토기는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서산 휴암리, 안면도 고남리 등지에서 보이듯, 아가리부분이 안으로 좁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중기 청동기시대 들어서 밖으로 벌어지는 외반구연의 형태로 변화하면서 유물군 내에서의 비율이 점차 낮아진다. 동북지방과 경상도지역의 일부에서는 깊은바리모양토기(深鉢形土器)에 손잡이(把手)가 부착되는 형태로도 변화한다.

이후 청동기의 사용이 시작되면서, 바리모양을 지닌 점토대토기와 화분형토기가 지역을 달리하여 등장하는데, 형태상의 정의로는 이들 토기가 바리모양토기에 속하지만, 일반적으로 바리모양토기라는 명칭을 이들 토기를 지칭하는 데에 사용하는 예는 드물다.

참고문헌

  • 無文土器 地域分類 試攷(尹武炳, 震檀學報 39, 1975년)

관련이미지

청진 농포동 출토 바리모양토기

청진 농포동 출토 바리모양토기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