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멍무늬토기

구멍무늬토기

진주 대평리 출토 구멍무늬토기

진주 대평리 출토 구멍무늬토기

구연 아래에 원무늬〔圓文〕를 연속하여 새긴 토기로서, 소위 골아가리무늬〔口脣刻目文〕가 새겨진 토기와 함께 역삼동식토기(驛三洞式土器)라고도 불린다. 한반도에서는 팽이모양토기〔角形土器〕의 주 분포지인 평안남도와 황해도를 제외한 전지역에서 출토되며, 한반도 동북지역에서 전파된 것이라고 한다.

이 토기의 문양은 다양한데, 구멍이 토기의 기벽(器壁)을 완전히 관통한 것과 반관통한 것으로 분류되고, 또 구멍을 뚫은 방향이 토기의 안쪽에서 바깥을 향해 새긴 것과 그 반대인 것으로 분류된다. 최근 후자의 경우를 구멍무늬〔孔列文〕로, 전자의 경우 중에서 반관통된 것을 돌류문(突瘤文)으로 분류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이들의 새김도구는 죽관형(竹管形)과 봉상(棒狀) 또는 끝이 둥근 봉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천 본촌리 출토 구멍무늬토기

사천 본촌리 출토 구멍무늬토기

돌류문은 토기 표면을 융기시킨 문양의 표현으로 중국 동북지역의 원형첨부문(圓形貼付文)의 변형이라고 생각하는데, 사천 본촌리 유적의 전기 집자리에서 출토된 돌류문토기는 융기된 돌류문의 표면을 다시 납작하게 눌러 흡사 원형첨부문과 같은 효과를 만들고 있기 때문에, 이 양자 간의 관련성이 높다고 추정된다.

구멍무늬토기는 다른 무늬장식과 어떻게 결합하였는가에 따라서 2가지 형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다른 장식이 없이 다만 구순(口脣)부분에 골아가리 장식이 부가된 예로서 서울 역삼동 유적의 출토 예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형식이 한반도 거의 전역에 가장 많이 분포한다. 다음에는 구멍무늬장식과 함께 겹아가리〔二重口緣〕에 빗금무늬〔斜線文〕 장식이 함께 한 토기형식이다. 한강유역과 동해안 지역에서 그 초기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유적이 여주 흔암리 유적이다.

돌류문을 포함한 구멍무늬토기는 청동기시대 전기의 이른 시점부터 출현하며, 특히 강원 영서와 영남 서부지역에는 중기까지 존속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영남 동부의 쇠퇴기라고 할 수 있는 전기 말에는 끝이 둥근 봉상도구로 새긴 것이 특징이다. 일본에서도 한반도의 구멍무늬는 죠몬시대(繩文時代) 만기(晩期)의 구로가와식토기(黑川式土器)와 공반되어 나타나기 시작한다. (안재호)

참고문헌

  • 경기도출토 무문토기 마제석기(이백규, 고고학 3, 1974년)
  • 欣岩里類型土器の系譜をめぐって(大貫靜夫, 東北アヅアの 考古學 第二, 東北亞細亞考古學硏究會, 1996년)
  • 前期無文土器の文樣編年と地域相(安衣晧ㆍ千羨幸, 福岡大學考古學論集-小田富士雄先生退職記念, 2004년)

동의어

공렬토기(孔列土器)

참조어

돌류문토기(突瘤文土器), 도들띠토기, 반관통공렬토기(半貫通孔列土器), 역삼동식토기(驛三洞式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