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

문양

[ 文樣 ]

조형미술에서 말하는 문양은 미적 표현의 3요소인 형체(形體, form)와 색조(色調, color combinations), 문양(文樣, pattern) 가운데 하나로, 문양은 시각적(視覺的) 대상으로서, 미적추구심(美的追求心)이 가장 뚜렷하게 반영된 것이다. 문양은 단순한 무늬가 아니라 어떤 대상에, 어떤 목적으로, 어느 위치에 배치하고, 어떤 양식으로 구성하느냐를 분명하게 의도한다. 그럼으로 해서 문양은 일정한 질서에 의해 그 나라나 민족의 독특한 미술양식을 지니게 된다. 인류 문명의 발달에서 가장 획기적인 일은, 그 첫째가 질 그릇의 발명이고, 둘째는 그릇 표면에 문양을 새겨놓아 상징성을 부여하게 됨으로써 비로소 장식미(裝飾美)에 눈뜨는 계기가 된 것이다.

문양은 일반적으로 모든 물체의 겉에 나타나는 장식무늬와 의식에 쓰이는 가재도구, 곧 옷감이나 기물·도구 등을 비롯한 공예·조각·건축 등의 조형미술에 장식적으로 나타낸 여러 가지 무늬를 말하며 문양(文樣)·문채(文彩) 또는 그냥 무늬라고도 한다. 미국 심리학자 미켈(Mickel, W. J.)에 의하면, “사람의 눈이 공간을 오랫동안 보다 보면 어느 한 점으로 중심을 찾아서 안정을 얻고자 하므로 그 지루함과 불안정감을 없애기 위하여 공간을 메우려는 의도에서 무늬가 나타나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렇듯 문양은 인간만이 지닌 의미 있는 상징적인 사고의 표현물인 것이다.

문양의 조형적 표현의 시원은 먼저 그림문자(圖畵文字)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원시시대에 의사전달의 수단이 되었던 신성한 표시나 기호(記號)가 무늬를 비롯한 그림과 문자를 만들게 되었다. 큰 나무와 암벽·바위·자갈 또는 동물의 뼈나 뿔(骨角) 등에 자연·비자연적인 어떤 형상을 선각(線刻), 부조(浮彫)하거나 아니면 채색으로 그것을 표현하는 행위에서 무늬와 그림, 나아가서는 문자의 형성을 이루게 된 것이다. 중국의 갑골문자(甲骨文字)같은 상형문자는 산천의 생김새와 조수(鳥獸)의 발자국, 우주운행의 형상 등을 그대로 표현한 것이다. 이집트의 신성문자(神聖文字)나 앗시리아·바빌로니아·페르시아에서 사용된 설형문자(楔形文字) 등도 모두 문양의 요소가 드러나 있에 이를 알 수 있다.

이렇듯 문양은 가장 원초적인 의도적 표현에서 시작되어 오늘날에는 모든 예술 가운데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장식예술로 발전되었다. 곧 문양은 인간의 욕구를 특정 형태로 나타내는 것으로 인간만이 지닐 수 있는 독특한 특성인 상징화의 능력에 기초하면서, 모든 예술이 그렇듯 자연대상과 결코 떨어질 수 없는 관계 속에 놓여 있는 것이다.

문양의 양식은 크게 기하학적 양식, 식물문 양식, 동물문 양식, 자연문 양식 등으로 나누게 되는데, 이들의 여러 구성법은 모두 좌우상칭(左右相稱)과 리듬이라는 기초적인 예술법칙의 순리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기하학적 양식에서 보이는 삼각형, 사각형, 능형(菱形), 지그재그형 등은 모두 직선에서 시작되며, 원형(圓形), 파상형(波狀形), 와형(渦形) 등은 곡선에서 출발하지만 모두 좌우상칭과 리듬의 법칙으로 근본 도형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기하학적 문양은 점과 선으로서 삼각무늬, 사각무늬, 문살무늬, 번개무늬, 방사선(放射線)무늬, 톱니(鋸齒)무늬류와 원무늬, 타원무늬, 동심원(同心圓)무늬, 소용도리(渦, 곱팽이)무늬류 등을 만드는데, 이들을 모두 보통 ‘원시(原始)무늬’라고 부른다. 이러한 원시무늬는 곧 주술적인 특징을 지니는데, 크게 일반생활에 유용한 물건의 제작에 따르는 기술적인 작업과정에서 나타나는 예술적 산물이거나, 그와는 달리 특수한 신비적 정신세계와 연관되는 어떤 관념의 표현 또는 이러한 관념에 결부되는 제사적(祭祝的)인 목적으로 제작되는 의례적 산물로도 볼 수가 있다.

번개무늬(雷文)는 번개를 나타내면서 비와 관련된 상징적 표현인 것이어서 인도, 일본 등에서는 비를 오게 하기 위해서 번갯불이나 천둥소리를 모방해내야 했다는 것이다. 삼각무늬는 재생의 뜻과 여성의 성기를 상징하므로, 삼각무늬의 배열은 곧 다산과 동물의 여성적 상징물로 볼 수 있다. 또 소용도리무늬(渦文)는 나선형이어서 물의 소용돌이, 뱀과 조개 및 고사리과 식물의 와상(渦狀) 그리고 회오리바람 등의 자연적인 형상에서 얻어진 것으로 보고, 그 상징적 의미는 죽음이거나 우주의 무한함 또는 그 반대적인 의미로 여기는 것이다.

특히 조개와 달 그리고 여성과의 상징적 관계 속에서 고대 중국에서는 달이 차면 조개가 많고 달이 기울면 조개가 없어진다고 믿는 다산성(多産性) 출생을, 일본에서는 조개와 여성의 생식기를 동일시하는 풍요신앙을 보여주고 있다. 원무늬는 태양을 상징하는데, 한편으로는 타원무늬와 더불어 씨족공동체의 성원(成員)이나 씨족신의 수호 밑에 있는 씨족 개개인의 혼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보고 있다.

원시미술에서 이러한 기하학적 무늬 외에 인류생활과 신앙에 밀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동물무늬가 있다. 석기시대 이전부터 골각기(骨角器)나 자갈의 형태에 맞추어 물고기, 개, 인형 등을 간단하게 새기고 있지만, 청동기시대에 와서 각종 의기(儀器)와 무기, 장신구에 동물의 조형과 무늬 그리고 수렵·어로생활을 다양하게 표현한 예술적인 장식무늬를 만들고 있다. 뿐만 아니라 문화유적으로 알려진 암각화(巖刻畵)에도 청동기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동물과 여러 가지 추상적인 도상이 선각으로 나타나 있어 원시무늬의 특성을 알려주고 있다.

이러한 선사시대의 미술에 보이는 장식무늬는 수렵·어로·농경생활과 토착신앙 및 다른 문화의 유입에 따른 대륙적 성격까지 나타내, 의사전달과 표시를 위한 기호와 표지(標識)로 여겨지는 도상(圖像)과, 또는 토템신앙과 제전(祭典) 및 의식(儀式) 광경을 나타내는 장식무늬와 그림은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는 것이다.

삼국시대에 오면 장식문양은 이제 그 기법과 형태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주무늬와 부수적인 장식무늬로 구분되고 있으며, 선조법(線彫法)·면조법(面彫法)·압찰법(押察法)·채묘법(彩描法)·상감법(象嵌法) 등의 평면적 기법과 투조법(透彫法)과 원조법(圓彫法)·부조법(浮彫法) 같은 입체기법이 두루 쓰여지고 있다. 이 가운데 채묘법과 선조법은 가장 오랜 전통기법이지만 삼국시대의 의장적 특징은 투조법과 선조법, 상감법, 금세공법(金細工法), 타출법(打出法) 등에서 찾을 수 있다. 투조기법의 발달은 중국 한문화 금공기술과 나아가 스키타이 금공문화에서부터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어, 내륙시베리아에서 흑해연안까지 연결되는 동아시아문화권의 한 특수성을 보이고 있다. 또 이 기법은 평면적인 묘사로 의장된 구성이기도하여 고분벽화나 칠기의 무늬의장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삼국시대의 무늬는 크게 식물문계와 동물문계, 운기문계(雲氣文系)로 나눌 수 있으며, 식물문계에는 인동(忍冬)무늬·연화무늬 등의 초화(草花)무늬 외에 수목(樹木)무늬도 보이고 있다. 동물문계는 거의 한문화 요소인 용, 봉, 일월 등의 무늬와 북방계의 새무늬, 녹각(鹿角)무늬, 날개무늬, 나비무늬 들이며, 그밖에 운기문계의 무늬와 불꽃무늬 등이 나타나고 있다.

통일신라에 오면 고유문화와 불교 및 당(唐)나라를 통해 들어온 국제적인 문화요소가 모두 융합되어 다양한 가운데 풍성, 화려하고 세련된 문양을 보여주고 있다. 보상화(寶相華)무늬와 당초무늬는 삼국시대의 인동·연화무늬에서 더욱 변화되고 화려해졌는가 하면, 새로이 수화쌍금(樹花雙禽)무늬, 쌍수(雙樹)무늬 등의 서상적(瑞相的)인 소재와 보운(寶雲)무늬 등이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나타나는데, 이들은 이란의 사산왕조 문양의 영향으로서 당대(唐代)의 아스타나 고분과 일본 호류사의 사자수문금(獅子狩文錦)에도 보이는 것이다.

황룡사(皇龍寺)터에서 나온 쌍금문은식판(雙禽文銀飾板)과 경주박물관의 쌍금대수문석각(雙禽對樹文石刻) 및 와전(瓦塼)에서의 좌우대칭 구성인 쌍조(雙鳥)·쌍룡(雙龍)·쌍봉(雙鳳)무늬, 그리고 기린(麒麟)·천마(天馬)·비천(飛天) 등을 쌍으로 구성한 무늬들이 통일신라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밖에 사자무늬,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무늬, 가릉빈가(迦陵頻伽)무늬 등도 통일신라의 금공·와전·토도(土陶) 제품 등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장식무늬이다.

고려는 태조 때부터 통일신라의 융성하였던 불교의 바탕 위에 유교사상을 지향하여 격조 있는 새로운 문화를 꾀하게 되었다. 문양에 있어서도 그 시문기법(施文技法)으로서 상감기법(象嵌技法)의 발달을 보이는데, 특히 청동은입사기법(靑銅銀入絲技法)은 상감청자와 나전칠기의 발달을 가져오면서 그 의장과 무늬가 전에 없던 한국적인 풍취를 주제로 한 회화적 표현을 등장시켜, 한국인의 생활정감과 시취(詩趣)가 풍기는 특성을 나타내게 되었다. 곧, 고려자기의 무늬는 당시 사대부들이 즐겨 찾았던 화재(畵材)인 야국(野菊), 수양버들, 갈대, 물새, 운학(雲鶴) 등이 있는 풍경화적인 정경의 무늬여서 한국적 정취를 자아내었고, 소나무 아래에서 악기를 연주하며 학무(鶴舞)를 즐기는 선비를 나타낸 의장도 보이고 있어 고려인의 마음을 읽게 하고 있다.

이밖에도 매화와 대나무, 난초, 연꽃, 모란과 산새의 무늬 등이 보이는데, 매(梅)·난(蘭)·국(菊)·죽(竹)은 군자(君子)의 기상을 뜻하므로 선비들이 가까이하던 것이어서 조선시대에 가서도 큰 특색을 보이는 무늬요소가 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오면 초기에는 청화백자(靑華白磁) 등에서 원(元)·명대(明代) 북종화가(北宗畵家)의 필법에 못지않게 능숙하고 격조 있는 회화적 장식무늬가 그려지며, 나아가서는 명대 후기부터 성행한 남송화풍의 영향으로 수묵화를 주로 한 운치 있는 문인화풍의 의장무늬도 성행하게 되었다. 조선 중엽에는 산수, 인물뿐 아니라 영모(翎毛), 화조(花鳥), 묵매(墨梅), 묵죽, 포도 등의 그림소재가 무늬의장으로 성행되며, 후기에 와서는 산수무늬를 중심으로 장생(長生)무늬, 어개(魚介)무늬, 용과 범 그리고 여러 가지 길상도(吉祥圖)에 의한, 당시의 자연관과 행복관을 반영한 해학적인 생활문양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문양은 삼국시대 이래 대체로 불교적 요소가 많지만, 더불어 유교·도교적인 요소도 포용하고 있다. 곧, 공예미술에 특징적으로 쓰여진 길상적인 문양은 다복(多福)·다수(多壽) 및 자손 번영의 다남(多男)·다손(多孫)을 상징하는 소재가 많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문양요소는 선사시대부터 믿어왔던 천명관(天命觀) 속에서 팔괘(八卦)와 태극(太極), 일월상(日月象) 등의 상징적 도상을 나타내어 길리(吉利)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또 불교적인 길상무늬인 칠보(七寶)·팔보(八寶)의 문양은 여의(如意)·길경(吉慶)·장명(長命)을 뜻하는 것으로, 이는 도가에서도 팔선(八仙)의 상징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문양의 여러 종류

문양의 여러 종류

참고문헌

  • 한국전통문양(임영주, 도서출판 예원, 1998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년)
  • 韓國紋樣史(林永周, 美進社, 1983년)
  • 傳統紋樣資料集(林永周, 美進社, 1983년)
  • 古新羅工藝의 秀作무늬에 대하여(孟仁在, 考古美術 150, 1981년)
  • 韓國紋樣史(黃冱根, 悅話堂, 1978년)
  • 韓國考古學槪說(金元龍, 一志社, 1977년)
  • 韓國美術史(金元龍, 汎文社, 197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