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 유적

중도 유적

[ 春川 中島 遺蹟 ]

지역 춘천
1982년 발굴 주거지 전경

1982년 발굴 주거지 전경

강원도 춘천시 중도에 위치하는 철기시대 집자리 유적으로, 북한강 가운데에 있는 작은 섬에 위치함으로써 의암호가 만들어진 후 상당 부분이 침수되었다. 1980~84년까지 국립박물관에 의해 연차적으로 조사되었는데, 철기시대 유구는 1980년에 조사된 1호 집자리와 1982년에 조사된 2호 집자리이다. 그리고 강원대학교박물관에 의해 돌무지무덤(積石塚)이 조사되었다.

1호 집자리는 동~서 너비가 5.4m, 남~북 너비가 5m 정도의 말각방형(抹角方形)의 움집자리(竪穴住居址)이다. 움의 깊이는 약 40~45㎝ 정도의 꽤 깊은 편이다. 집자리 내부의 퇴적층은 맨 위가 숯과 모래가 뒤섞인 층이고, 그 아래로 밝고 고운 붉은색의 모래가 약간 섞인 사질소토층, 목탄층, 이어서 진흙을 단단하게 다진 바닥층이 나오고 그 이후에는 명갈색 사질토의 생토층이다. 집자리 내부에서 다량으로 출토된 목탄은 대개 집자리 동벽 바로 아래에서 시작하여 집자리 중앙으로 너비 0.5m, 길이 3m 가량 집중적으로 널려져 나타나 이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집자리 내부에는 중앙부에서 북쪽으로 치우쳐 크기 0.95×1.2m의 타원형 화덕이 있는데 크고 작은 강돌을 깔아 만들고 진흙을 보강하였으며, 그 아래에도 납작한 강돌을 깔아 놓았다. 기둥 구멍은 벽에 따라 4개가 확인되었고, 동벽에 붙인 진흙 구조물이 발견되었는데 이 유구는 굴뚝 시설로 추정되고 있다. 출토 유물로는 외반구연토기, 보시기, 시루 등의 무문토기와 적갈색 또는 회색에 원저(圓底)나 말각의 납작바닥을 가진 타날문토기가 있고, 도끼날형의 철기류, 숫돌 등의 석기가 있다.

2호 집자리는 동~서 너비가 6m, 남~북 너비가 현존 5.5m이다. 집자리 움 깊이는 0.9~1.0m로 어깨와 바닥의 각도가 비교적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바닥 중앙의 북쪽에 치우쳐 1.7×1.14m 크기인 화덕(爐) 시설이 있으며, 이 화덕 시설은 1호 집자리와 마찬가지로 바닥에 납작한 강돌을 야구의 홈프레트판 모양으로 깔고 그 위에 점토를 덮어 만들었다. 화덕의 주위에는 두께 16㎝ 정도의 점토띠를 타원형으로 돌렸고, 북벽에는 바람막이로 생각되는 길이 77㎝, 두께 4~10㎝, 높이 20㎝의 긴 판돌을 북쪽으로 60。정도 경사지게 세워 놓았다. 집자리 바닥은 1~3㎝ 정도의 고운 점토를 다져 만들었다. 기둥 구멍은 동벽, 남벽에서 각각 1개씩 확인되었다. 출토유물로는 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 돌도끼 등이 출토되었다.

1·2호 집자리의 연대를 북창 대평리 유적과 비교하여 1~2세기경으로 보았는데, 2호 집자리에서 채집된 방사선탄소연대는 1534±95 B.P.(A.D. 415년)가 나와 집자리의 상대연대와 상당한 폭이 있다. 연구자들은 중도 1호 주거지를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초반으로 보기도 한다.

돌무지무덤은 쌍분(雙墳)의 형태를 하고 있는데, 붕괴의 위험이 많은 동분이 먼저 조사되었다. 동분은 방추형의 돌무지무덤으로 한 변이 15m이며, 높이는 약 5m 정도이다. 축조 방식은 강을 동쪽으로 바라보는 구릉저지대에 우선 강돌과 모래를 이용하여 지면의 굴곡을 없애고, 강에 인접한 부분은 모난 돌과 납작한 돌을 사용하여 축대를 쌓아 붕괴를 방지하였으며, 그 내부에는 모래를 다져 넣었다. 기단이나 계단은 보이지 않고 매장시설로 내곽과 외곽을 설치한 것이 확인되었다. 내곽의 바닥면은 납작한 강돌을 깔아 평평하게 유지하려고 하였으며 쇠못, 거멀쇠의 존재로 보아 나무널(木棺)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유물로는 청동제귀고리, 쇠손칼(鐵刀子), 쇠화살촉(鐵鏃) 등이 덧널의 내부 혹은 외부에 흩어져 있었고, 토기는 타날문을 시문한 회색의 경질토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참고문헌

  • 中部地方 原三國 文化의 編年的 基礎-住居址의 相對編年을 中心으로-(宋滿榮, 韓國考古學報 41, 韓國考古學會, 1999년)
  • 中島積石塚發掘報告(朴漢卨·崔福奎, 中島發掘調査報告書, 1982년)
  • 中島 3(池健吉 外, 國立中央博物館, 1982년)
  • 中島 1(李健茂 외, 國立中央博物館, 1980년)

유의사항

  • ⓘ 본 콘텐츠는 과거 인류들이 남긴 유물, 유구, 유적 등의 고고학적 내용으로, 유적명과 주소는 2001년 발간 당시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반영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