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무지무덤

돌무지무덤

[ 積石塚 ]

장군총(적석총)

장군총(적석총)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의 고구려, 백제초기에 나타나는 묘제의 일종이다. 선사시대의 것은 구덩이를 파거나 구덩이 없이 시체를 놓고 그 위에 흙 대신 돌을 덮는 가장 원시적인 묘제(墓制)로 시도, 제천시 양평리, 춘천시 천전리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다. 특히 천전리의 경우 중심부에 2-3개의 돌덧널(石槨)이나 돌널(石棺)을 두고 커다란 석괴를 덮은 것으로 청동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에 걸쳐 나타난다.

고구려와 백제의 초기단계에서 보이는 돌무지무덤은 桓仁縣 高力子村, 시중 심귀리, 자성 조아리·서해리·법동리·송암리 등지의 압록강유역에서 보이는 것들과 양평 문호리, 서울 석촌동, 중도, 제천 양평리·교리·도화리 등지의 남한강유역에서 보이는 것들이 이에 해당한다.

고구려의 돌무지무덤은 우선 땅 위에 냇돌(川石)을 방형(方形)으로 깔고, 그 중심부에 동-서로 긴 편평부를 만들어 나무널(木棺)을 놓고, 다시 그 위에 단을 만들어 돌을 덮은 것이었다. 또한 단독장도 있지만 널받침(棺臺)이 2개 있는 합장묘도 많으며, 돌무지무덤이라는 구조 때문에 순장(殉葬)이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2-3세기경부터는 강변 평지에 묻던 무덤이 산기슭이나 중턱으로 옮겨가고, 돌 역시 냇돌이 아닌 깬돌(割石)을 쓰고 있다. 그리고 기단식이라 하여 제1단은 주변에 편평한 판돌을 돌리고 너비도 넓어져 기단부 같은 성격의 것이 되었다.

압록강과 한강유역에 보이는 고구려와 백제의 돌무지무덤은 형태상 몇 가지로 나누어지며, 그 분류는 학설상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일설은 돌무지무덤을 석분(石墳)의 범주에 넣어 적석묘, 방단적석묘(方壇績石墓), 방단계단석실묘(方壇階段石室墓), 봉석석실묘(封石石室墓)로 세분하고 있으며, 다른 하나는 무기단식, 기단식, 널길과 돌방이 있는 기단적석총 등 셋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또한 후자에서는 무기단식의 경우 B.C. 3-1세기부터, 기단식은 기원을 전후로 한 시기부터 발생한다고 하였다. 널길과 돌방이 있는 기단적석총을 돌방무덤에로의 이행과정 양식으로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돌무지무덤의 축조자들이 고구려를 세운 장본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비록 이러한 돌무지무덤의 기원이 고구려지역에 있다 하더라도, 한강유역에서 나타나는 것은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백제시대의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현재까지 밝혀진 돌무지무덤은 불과 몇 예에 불과하지만 일제시대의 조사에 의하면 석촌동 일대에 토총(土塚)과 석총(石塚)이 각각 23기, 66기씩 분포해 있었다고 하는데 이 중 상당수가 백제식의 돌무지무덤이었을 가능성도 많다.

한강유역의 돌무지무덤은 고구려식의 전형적인 돌무지무덤과 거의 차이가 없지만 중심부는 돌이 아닌 흙이어서 돌무지무덤 내부의 돌덧널이나 돌방 대신 움무덤(土壙墓)의 나무널(木棺)과 같은 것이 매장 주체부로 사용되는 점이 다르다. 문호리의 돌무지무덤은 석촌동 3호분과 같이 고식(古式)으로 백제 건국자들이 고구려에서 남하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뒷받침 해준다.

석촌동 4호분의 경우 3단의 기단식적석총으로 위에 돌방과 형식상의 널길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돌방무덤 이전의 단계로 돌무지무덤으로서는 가장 발전된 단계이다. 석촌동 4호분은 계단식 돌무지 내부에 위치한 흙 기둥이 먼저 만들어진 다음 이 흙 기둥에 붙여 계단식 돌무지가 추가된 것으로, 계단식 돌무지를 외곽에 축조해 나가면서 거의 동시에 그 내부공간에 흙을 채워 올라가는 형식인 1호 북분과 2호분과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돌무지무덤은 그 크기나 묘의 특수성으로 보아 왕릉으로 추정되며 백제의 개로왕이 유리하에서 대석을 주워 돌덧널을 만들고 아버지를 묻었다는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기록과도 부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연대는 4-5세기 정도로 여겨진다.

양평 도화리의 경우 3단의 기단은 갖추어져 있으나 석촌동 4호분에서와 같이 널길과 돌방은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곳에서 출토된 김해토기, 철제무기, 퇴화된 무문토기편들로 보아 그 연대는 2-3세기경으로 짐작이 된다. 역사시대의 돌무지무덤은 특히 남·북한강유역에 분포하고 있는데, 그 시기도 백제가 공주로 천도하기 이전의 기간인 B.C.18-A.D.475년의 약 500년 동안으로, 한성이라는 지리적인 위치와도 관련을 맺고 있다. 이 유적들은 백제 초기인 한성도읍시대의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 주고 있다.

참고문헌

  • 百濟初期 漢城時代古墳에 관한 硏究(林永珍, 韓國考古學報 30, 韓國考古學會, 1993년)
  • 漢江流域 百濟古墳의 再檢討(姜仁求, 韓國考古學報 22, 韓國考古學會, 1989년)
  • 韓國의 古墳(김원용, 교양국사총서 2, 1974년)
  • 고구려 적석총에 관하여(정찬영, 문화유산 61-5, 196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