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연질토기

회색연질토기

[ 灰色軟質土器 ]

철기시대 토기 중의 하나로 ‘회백도’, ‘연질회색토기’, ‘회색연질토기’, ‘회색양질토기’ 등으로도 불리며, 일반적으로는 ‘회색연질토기’라고 불리워 진다.

웅천 조개무지에서 보이는 회백도(灰白陶)는 연질토기로 태토가 매우 정선되었다고 설명되는데 연질회색토기(軟質灰色土器)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회청색의 유문으로 연질토기로 규정하고 있다. 조도 조개무지에도 회색연질토기(灰色軟質土器)가 출토되었는데 이것은 환원염(還元焰)으로 소성된 것을 제외하면 태토나 경도가 적갈색연질토기와 같은 질로 설명되고 있다. 따라서 회백도, 연질회색토기, 회색연질토기 등이 서로 관련이 깊은 토기로 생각된다. 그리고 조도 조개무지에서는 회색양질토기(灰色良質土器)도 출토되었는데 이것은 고운 태토를 사용하고 소성도는 회청색경질토기 보다 높지 않다고 설명하면서 회색연질토기에서 발전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밖에도 일부 조질의 회색토기를 포함하는데, 조질의 회색토기는 조질유문도, 회색조질토기, 조질회색토기 등으로 불리고 있다. 조질유문도(粗質有文陶)는 ‘풍납리식 조질유문도’라 불렸던 것으로 물레를 사용하고 문양은 격문·승석문(格文·繩蓆文)을 타날하였으나 김해식토기에 비해 태토가 약하게 구워진 점이 다른데 이를 김해식토기의 선행양식으로 보기도 하며, 이를 조질회색토기(粗質灰色土器)로도 명명하고 있는데, 한강유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경질무문토기와 같은 시기에 존재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도 조개무지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회색조질토기(灰色粗質土器)가 등장하며 회색연질토기와 태토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으나 소성도가 높아 기표면에 석립이 튀어나오고 균열을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어 조질회색토기와 동일한 토기로 보인다. 따라서 조질유문도, 조질회색토기, 회색조질토기 등은 거의 같은 토기로 생각되는데 철기시대 중에서도 시기적으로 빠른 것으로 회색연질토기와 관련이 깊은 토기로 보여진다.

회색연질토기의 연대는 타날문토기(打捺文土器)의 등장을 기원전후로 보고 있기 때문에 적갈색연질토기와 함께 가장 이른 시기에 출현하였고, 회청색경질토기가 출현하기 이전에 주로 유행하였다.

회색계통의 토기는 환원염에 의해 구워진 것으로, 특히 회색연질토기의 발생을 중국(中國)의 회도(灰陶)의 영향으로 보는 경우가 많은데, 역시 회도의 영향으로 만들어졌다는 회백색연질토기(혹은 와질토기)와의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들 토기는 점차 회청색경질토기로 발전되어 갔다.

참고문헌

  • 原三國期 土器의 變遷과 問題點(崔盛洛, 嶺南考古學報 5, 嶺南考古學會, 1989년)
  • 海南 郡谷里貝塚 1(崔盛洛, 木浦大博物館, 1987년)
  • 韓國考古學槪說(金元龍, 一志社, 1986년)
  • 韓半島 鐵器時代 土器의 硏究(金暘玉, 白山學報 20, 白山學會, 197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