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송리식토기

미송리식토기

[ 美松里式土器 ]

미송리형토기(1 : 쌍방돌관무덤, 2 : 신암리유적, 3 : 축가구돌관무덤, 4 : 토성리유적, 5 : 소청도돌관무덤, 6 : 팔보구돌관무덤, 7 : 이도하자돌관무덤, 8~9 : 미송리유적)

미송리형토기(1 : 쌍방돌관무덤, 2 : 신암리유적, 3 : 축가구돌관무덤, 4 : 토성리유적, 5 : 소청도돌관무덤, 6 : 팔보구돌관무덤, 7 : 이도하자돌관무덤, 8~9 : 미송리유적)

1959년 발굴된 평안북도 의주군 미송리 동굴유적에는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두 개의 문화층이 있다. 신석기 문화층에서는 꼬불무늬〔之字文〕토기가 나왔고 동북쪽의 서포항 유적과 함께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인 기원전 6,000년기로 편년하고 있다.

청동기문화층에서는 청동도끼〔銅斧〕, 화살촉〔鏃〕, 뼈연장〔骨器〕 등과 함께 여러 종류의 토기가 나왔다. 토기에는 표주박의 위아래를 잘라버린 것 같은 목단지와 함께 바리모양〔鉢形〕, 굽접시〔高杯〕, 겹아가리토기〔二重口緣土器〕 등 다양하다. 바리는 구연부가 바라졌으며 꼭지손잡이가 붙어있고 들린 굽도 있다. 겹아가리토기는 곱싸넘긴 부분 끝을 꼭꼭 눌러서 무늬효과를 낸 것인데 보고자는 팽이모양토기〔角形土器〕와의 연관성을 지적하였다.

가장 주목받으며, ‘미송리식단지’라고 할 때 연상되는 표지적인 토기는 위아래를 잘라버린 표주박모양단지이다. 일반으로 미송리식토기라고하면 표주박모양토기를 생각하나 북한에서 말하는 미송리유형이란 위의 토기들을 모두 포함한 종합적인 토기 갖춤새를 말하므로 표주박모양토기가 나오지 않더라도 미송리유형이란 용어를 쓰는 경우가 많다.

표주박모양의 미송리식토기는 바탕흙〔胎土〕에 가는 모래와 운모를 약간 섞고 겉면을 마연하였다. 가는 줄을 합친 띠무늬를 목과 몸체에 각각 한 벌에서 세 벌까지 돌렸다. 몸체에는 물동이모양손잡이나 젖꼭지모양손잡이를 가로 한 쌍씩 붙이거나 입술모양손잡이를 대칭으로 붙인 것이 있다. 또 띠무늬를 넣지 않고 나무그루모양손잡이를 붙인 것도 있다. 최근에는 이 토기의 명칭을 ‘조롱박형단지’라고 부르고 있다.

이 미송리식토기가 중요하게 여겨지게 된 경위는 미송리 단지가 우리나라 서북지방 및 중국 동북지방에 광범히 하게 퍼져있는 가운데 조선과 리야오도옹(遼東)반도 일대에서 미송리단지를 쓰던 주민이 고조선을 세웠다고 주장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고조선의 무덤으로 자주 인용되는 까앙싸앙(崗上)과 러우싸앙(樓上) 등 리야오도옹지방의 무덤유적에서 비파모양단검(琵琶形短劍)과 함께 미송리단지가 출토된 점 등에 의해 미송리식토기가 고조선의 성립을 증거하는 표지유물로 여겨졌던 것이다.

미송리식토기는 까앙싸앙 무덤 및 비파모양단검의 편년에 따라 기원전 8∼7세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편년되어왔다. 그러나 고조선의 성립시기가 기원전 3000년기이며 그 중심지가 평양이라는 논의가 1990년대 이후 등장함에 따라 비파모양단검과 미송리식토기의 해당시기도 모두 상향조정하게 되었다. 그리고 미송리식토기의 본고장도 평양지방이라고 주장되고 있다. 일찍이 미송리단지의 후기형인 묵방리형단지가 개천 묵방리 유적에서 나왔었고 그 밖에도 금탄리, 석탄리 유적 등지에서 미송리식토기가 출토된 바 있으나 까앙싸앙 중심의 고조선 논의 단계에서는 청천강 이북의 미송리식토기에 비중을 두었으므로 주목받지 않았었다.

최근에는 호남리 남경 유적에서 나온 미송리식토기와 함께, 같은 호남리의 표대부락에서 발굴된 미송리식토기의 의미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표대 유적의 연대는 가열형광측정법(TL)으로 4980 B.P., 핵분열흔적(fission-track) 연대측정으로 5283 B.P., 4668 B.P. 등을 얻어 기원전 3000년 무렵으로 편년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결국 미송리단지는 팽이모양토기유형에 포함되며 평양지방 토기 편년 2기부터 해당된다. 3기는 묵방리식토기이며 마지막 4기는 남양형단지라고 하여 덕천 남양 유적 25호 집자리에서 출토된 토기 유형을 넣고 있다. (신숙정)

참고문헌

  • 미송리 동굴유적 발굴보고(김용간, 각지유적 정리보고, 고고학 자료집 제3집, 1963년)
  • 비파형단검문화의 미송리류형 1-3(황기덕, 조선고고연구 89-3, 89-4, 91-1, 1989년 ∼ 1991년)
  • 미송리형단지의 변천과 그 년대에 대하여(로성철, 조선고고연구 4, 1993년)

참조어

조롱박형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