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악원보

속악원보

[ 俗樂源譜 ]

요약 조선후기 장악원(掌樂院)에서 연주된 음악을 담은 악보.

연대와 작자 미상의 『속악원보』는 16정간보(井間譜)와 율자보(律字譜)로 기보됐고, 현재 국립국악원에 소장되어 있다. 1892년(고종 29)에 중수된 바 있는 7권 5책의 이 악보 7권은 인(仁)·의(義)·예·지(智)·신(信)의 다섯 편(篇)의 5책으로 구분됐다.

『속악원보』 인편 및 의편의 표지(국립국악원 소장)

『속악원보』 인편 및 의편의 표지(국립국악원 소장)

『속원원보』 권1 소재 "영신희문"

『속원원보』 권1 소재 "영신희문"

『속악원본』 권6 소재 "희문"

『속악원본』 권6 소재 "희문"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여민락"(與民樂)·"낙양춘"(洛陽春) 등의 악곡과 가야금보(伽倻琴譜)·현금보(玄琴譜)·비파보(琵琶譜)·방향보(方響譜)가 포함됐다. 다섯 편의 내용은 이렇다.

◇ 인편(人篇)의 권1: 종묘영녕전제악(宗廟永寧殿祭樂) 보태평보(保太平譜): 영신희문(迎神熙文), "전폐희문"(奠幣熙文), 진찬(進饌): "풍안지악"(豊安之樂), 초헌(初獻): "희문"(熙文)·"기명"(基命)·"귀인"(歸仁)·"형가"(亨嘉)·"집녕"(輯寧)·"융화"(隆化)·"현미"(顯美)·"용광정명"(龍光貞明)·"중광"(重光)·"대유"(大猶)·"역성"(繹成); 정대업보(定大業譜):"소무"(昭武)·"독경"(篤敬)·"탁정"(濯征)·"선위"(宣威)·"신정"(神定)·"분웅"(奮雄)·"순응"(順應)·"총유"(寵綏)·"정세"(靖世)·"혁정"(赫整)·"영관"(永觀); 철변두(徹籩豆): "옹안지악"(雍安之樂), 송신(送神): "흥안지악"(興安之樂);

◇ 의편(義編)의 권2: 무안왕묘제악보(武安王廟祭樂譜): 영신(迎神): "왕재곡"(王在曲), 전폐: "힐향곡"(肹蠁曲), 초헌·아헌(亞獻)·종헌(終獻): 힐향곡, 철변두: "석하곡"(錫蝦曲), 송신: "석하곡"; 권3 경모궁제악(景慕宮祭樂) 계희운보(啓熙運譜): 영신: "오휴곡"(於休曲), 전폐(奠幣): "제명곡"(齊明曲), 진찬: "혁우곡"(赫佑曲)·"숙안지악"(肅安之樂), 초헌: "제권곡"(帝眷曲)·"진색곡"(震索曲)·"유길곡"(維吉曲); 보융은보(報隆恩譜): 아헌: "독경곡"(篤敬曲)·"휴운곡"(休運曲)·"휘유곡"(徽柔曲), 철변두: "유분곡"(有芬曲), 송신(送神): 아례곡(我禮曲);

◇ 예편(禮篇)의 권4: "여민락만"(與民樂慢)·"낙양춘";

◇ 지편(智篇)의 권5: 여민락관보(與民樂管譜)·여민락현보(與民樂絃譜);

◇ 신편(信篇)의 권6: 현금보·가야금보·비파보: "희문"·"기명"·"귀인"·"형가"·"집녕"·"융화"·"현미"·"용광정명"·종묘제악(宗廟祭樂)·경모궁제악·만(慢); 권7: 방향보(方響譜): "령"(令)·"보허자"(步虛子).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3.1296~98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484쪽
  • 『國樂大事典』 張師勛,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4년, 427쪽

참조어

방향보(方響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