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허자

보허자

[ 步虛子 ]

요약 ① 조선초기 고취악(鼓吹樂)의 한 곡명.
② 현행 연례악(宴禮樂)의 한 곡명. 일명 "장춘불로지곡"(長春不老之曲)·"관악보허자"(管樂步虛子).

① 조선초기 고취악(鼓吹樂)의 한 곡명. 1431년(세종 13) 조참의(朝參儀) 때 전정고취(殿庭鼓吹)가 "보허자"를 연주했고, 판통례(判通禮)가 제자리로 돌아갈 때 "보허자"가 연주됐다. 세종(1418~1450) 때 세자가 조참을 위해 입궁할 때 연주됐다. 1447년(세종 29) 당시의 『시용속악보』(時用俗樂譜)에 전하는 "보허자"는 『세종실록』 권116에 전하고, 세조(1455~1468) 연주된 보허자는 『대악후보』(大樂後譜) 권6에 전한다.

성종(1469~1494) 때 향악악공취재(樂工取才)를 위한 시험곡의 하나라고 『경국대전』(經國大典) 권3에 전한다.

② 현행 연례악(宴禮樂)의 한 곡명. 일명 "장춘불로지곡"(長春不老之曲)·"관악보허자"(管樂步虛子). "보허자"를 "관악보허자"라고 한 이유는 "현악보허자"(絃樂步虛子)인 "보허사"(步虛詞)와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낙양춘"(洛陽春)과 함께 송사(宋詞)에서 유래된 "보허자"는 본래 관현반주가 따르는 성악곡이었다. 언제부터인지 노래의 가사는 떨어져 나감으로써 순수 기악곡으로 변천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고려사』 권71(「악지」) 소재 오양선(五羊仙)조에 "보허자령"(步虛子令)의 가사가 전한다. "미전사"(尾前詞)와 "미후사"(尾後詞)로 구분됐다. 미전사의 원문과 한글번역은 이렇다.

『속악원보』 소재의 보허자(국립국악원 제공)

『속악원보』 소재의 보허자(국립국악원 제공)

『한금신보』 소재의 보허자(국립국악원 제공)

『한금신보』 소재의 보허자(국립국악원 제공)

(원문) "벽연농효해파한(碧烟籠曉海波閑) 강상수봉한(江上數峰寒) 패환성리(佩環聲裏) 이향표락인간(異香飄落人間) 이강절오운단(珥絳節五雲端)."

(번역) "푸른 안개 새벽 하늘에 자욱한데 바다 물결 한가하고/강가의 두어 개 산봉우리 차가웁구나/패환(佩環) 소리 속에서/기이한 향기 인간 세상에 나부껴 떨어지는데/강절(絳節) 멈춘다, 오색 구름 끝에."

조선초기 "보허자"는 "납씨가"(納氏歌)·"유림가"(儒林歌)·"횡살문"(橫殺門)과 함께 향악(鄕樂)을 연주할 악공취재를 위한 시험곡의 한 곡으로 쓰였고, 조선후기에 이르러 처용무(處容舞)·수연장(壽延長)·봉래의(鳳來儀)·만수무(萬壽舞)·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의 반주음악으로 연주됐다.

『평양속지』(平壤續誌)에 의하면, 1730년(영조 6) 평양교방(平壤敎坊)에서 평양교방 소속 악공이 "보허자"를 연주했다고 전한다. 1769년(영조 5) 이 곡은 임금이 궁중잔치에 참석하기 위해 출입할 때 연주됐다고 『영조실록』에 전하며, 16정간보(井間譜)와 율자보(律字譜)로 기보된 보허자는 『속악원보』(俗樂源譜) 권5에 전한다.

"보허자"의 악보는 『대악후보』(大樂後譜)·『금합자보』(琴合字譜 1572)·『현금신증가령』(玄琴新證假令)·『한금신보』(韓琴新譜 1724)·『유예지』(遊藝志)·『속악원보』·『삼죽금보』(三竹琴譜) 등의 고악보에 전한다. 현행 "보허자"는 『대악후보』나 『속악원보』 소재 "보허자"의 일부만을 연주하고 있다. "미환입"(尾還入)·"세환입"(細還入)·"양청환입"(兩淸還入)·"우조가락환입"(羽調加樂還入), 이상 네 곡은 "보허자"의 환입(還入) 부분을 변주시켜서 파생된 곡이다.

본래 당악(唐樂)의 한 곡명이었던 "보허자"는 오랜 시대를 거치면서 향악화(鄕樂化)되어 "보허사" 같은 현악합주곡 및 "미환입" 등의 파생곡의 모체가 됐다. 3장으로 구성된 현행 "보허자"는 편종·편경·당피리·젓대·당적·해금·아쟁·장구·좌고로 편성된 관현악곡이다. 연주시간은 약 14분 20초가량 걸린다.

이 곡의 형식은 서양음악의 달세뇨(Dal Segno)형식과 비슷한 환입 즉 도드리형식으로 됐다. 노래의 가사 붙이는 법은 일자일음식(一字一音式)으로 됐으며, 매 4자마다 박(拍)이 들어가는 4박자의 음악이다. 음계는 황(E)·태(F)·중(A)·임(B)·남(C)·무(D)의 6음음계이고, 중심음은 중(A)이다. 5선악보는 『한국음악』 권1에 있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3.995~96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247, 279, 290, 294, 354, 369, 483, 484쪽

관련이미지

보허자 / 당악

보허자 / 당악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참조어

관악보허자(管樂步虛子), 장춘불로(長春不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