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공취재

악공취재

[ 樂工取才 ]

요약 조선초기 장악원(掌樂院) 소속 악공(樂工)의 선발.

(1469~1494) 악공의 취재는 당악과 두 갈래로 구분됐다. 당악(唐樂)을 연주할 악공의 시험곡목과 향악의 시험곡목 및 연주해야 할 악기의 종목은 『경국대전』(經國大典) 권3에 이렇게 전한다.

〈당악〉 ""(三眞勺譜)·""(與民樂令)·"여민락만"(與民樂慢)·""(洛陽春)·""(五雲開瑞朝)·""(萬葉熾瑤圖嗺子)·""(步虛子令)·""(步虛子急拍破子)·""(桓桓曲)·"태평년만"(太平年慢)·""(保太平十一聲)·""(定大業十一聲)·""(進饌樂)·""(豊安曲) ""(前引子)·""(後引子)·""(班賀舞)·""(靖東方)·""(還宮樂)·""(折花三臺)·""(折花急迫)·""(小抛毬樂令)·""(淸平樂)·""(水龍吟)·""(夏雲峰)·""(憶吹簫)·""(白鶴子)·""(獻天壽)·""(衆仙會)·""(金殿樂)·""(賀聖朝)·""(會八仙引子)·""(獻天壽嗺子)·""(金盞子慢)·""(金盞子嗺子)·""(瑞鷓鴣慢)·""(瑞鷓鴣嗺子)·""(千年萬歲引子)·""(聖壽無疆引子);

〈향악〉 "삼진작보"(三眞勺譜)·"여민락령"(與民樂令)·"여민락만"(與民樂慢)·""(眞勺四機)·""(履霜曲)·"낙양춘"(洛陽春)·""(五冠山)·""(紫霞洞)·""(動動)·"보태평십일성"(保太平十一聲)·"정대업십일성"(定大業十一聲)·"진찬악"(進饌樂)·"풍안곡"(豊安曲)·"전인자"(前引子)·"후인자"(後引子)·"정동방"(靖東方)·""(鳳凰吟三機)·""(翰林別曲)·"환궁악"(還宮樂)·""(致和平三機)·""(維皇曲)·""(北殿)·""(滿殿春)·""(醉豊亨)·""(井邑二機)·""(鄭瓜亭三機)·헌선도(獻仙桃)·"금전악"(金殿樂)·"납씨가"(納氏歌)·""(儒林歌)·""(橫殺門)·""(聖壽無疆)·""(步虛子).

(唐樂曲)과 향악곡(鄕樂曲) 이외 (編鍾)·(編磬)·생(笙)·우(竽)·화(和)·훈(塤)·지(篪)·금(琴)·슬(瑟)·(龍管)·노래(歌)·무(舞)는 모두 때때로 시험한다. 취재는 제학(諸學)과 같되, 다만 악생·악공이면 세 달 이내에 출사(出仕)한 것이 30일 미만인 자와 (祭享)·(宴享)·예회(禮會)에 무고(無故)하게 두 번을 불참한 자는 모두 시험을 보지 않고, 그대로 출사한 자는 30일이 미만했더라도 시험한다고 『경국대전』 권3에 전한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4.1440~41쪽

참조어

취재(取才), 악사취재식(樂師取才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