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죽금보

삼죽금보

[ 三竹琴譜 ]

요약 옛날 거문고악보의 하나.

국립국악원 소장의 『삼죽금보』에는 조임(調臨)·소이(騷耳)·소용(騷聳)·농(弄)·언락(言樂)·편락(編樂) 같은 가곡(歌曲)의 곡명, 청성자진한잎의 악보, 소이시조(騷耳時調)·무녀시조(巫女時調)와 같은 시조악보, 그리고 "상사별곡"(相思別曲)·"춘면곡"(春眠曲)·"매화곡"(梅花曲)·"황계곡"(黃鷄曲)·"권주가"(勸酒歌) 등의 가사 악보가 전한다.

『삼죽금보』의 표지 및 "언락"과 "편락"(국립국악원 제공)

『삼죽금보』의 표지 및 "언락"과 "편락"(국립국악원 제공)

이 거문고악보는 명금(名琴) 홍기후(洪基厚)의 제자 이승무(李升懋)가 스승의 가락과 당시의 거문고곡조를 모아서 1841년(헌종 7)에 펴낸 거문고악보이다. 육보(肉譜)로 기보된 곡조는 다음과 같다.

"보허사"(步虛詞)·"여민락"(與民樂)·"본환입"(本還入)·"소환입"(小還入)·"영산회상"(靈山會相)·"우조타령"(羽調打令)·"계면가락제이"·"군중취타"(軍中吹打)·"노군악"(路軍樂)·"가군악"(家軍樂)·"양청환입"(兩淸還入)·우조초수대엽(羽調初數大葉)·우조이수대엽(羽調二數大葉)·우조조임(羽調調臨)·우조삼수대엽(羽調三數大葉)·우조소이(羽調騷耳)·우조소용(羽調騷聳)·우롱(羽弄)·계면초수대엽(界面初數大葉)·계면이수대엽(界面二數大葉)·계면조임(界面調臨)·계면삼수대엽(界面三數大葉)·계면소용(界面騷聳)·롱(弄)·계면조·계면낙시조(界面樂時調)·우조낙시조(羽調樂時調)·언락(言樂)·편락(編樂)·편수대엽(編數大葉)·청성삭대엽(淸聲數大葉)·"장진주"(將進酒)·우조초중대엽(羽調初中大葉)·우조이중대엽(羽調二中大葉)·우조삼중대엽(羽調三中大葉)·계면초중대엽(界面初中大葉)·계면이중대엽(界面二中大葉)·계면삼중대엽(界面三中大葉)·우조후정화(羽調後庭花)·계면후정화(界面後庭花)·"상사별곡"·"춘면곡"·"행로곡"(行路曲)·"매화곡"·"황계곡"(黃鷄曲)·시조(詩調)·소이시조(騷耳時調)·무녀시조(巫女時調)·소이(騷耳)·월곡(月曲)·평우조조현(平羽調調絃)·평계면조조현(平界面調調絃)·사언환입(詞言還入)·"권주가"(勸酒歌).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3.1149~50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487~88쪽
  • 『국악유물도록』, 서울: 국립국악원, 2012년, 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