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응

순응

[ 順應 ]

요약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의 한 곡명.

1447년(세종 29)에 완성된 "정대업"의 악보는 『세종실록』 권138에 전한다. "정대업"의 선율은 세종 당시 고취악(鼓吹樂)과 향악(鄕樂)의 곡조를 차용하여 창제됐다. 세조(1455~1468) 때 종묘제례악으로 개작된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의 "순응"은 『세조실록』 권48에 전한다.

정대업 11곡 중 일곱 번째 곡인 "순응"은 아헌(亞獻)과 종헌(終獻) 절차에서 연주된다. 세종(1418~1450) 때 고려가요 "만전춘"(滿殿春)의 곡조를 차용해 지은 이 곡은 세조 때의 "혁정"(赫整)과 같은 곡이다. 천도(天道)에 순(順)하고 인도(人道)에 응(應)한다는 "순응"은 세조 때 개작할 당시 세종 때의 정대업 중 "지덕"(至德)을 새로 고친 것이다.

『세조실록』 권48 소재 "순응"

『세조실록』 권48 소재 "순응"

종묘제향(宗廟祭享)의 종헌(終獻)에는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을 구성하는 "소무"(昭武)·"독경"(篤敬)·"탁정"(濯征)·"선위"(宣威)·"신정"(神定)·"분웅"(奮雄)·"순응"·"총수"(寵綏)·"정세"(靖世)·"혁정"(赫整)·"영관"(永觀)을 연주한다. 이 악장의 원문과 번역은 이러하다.

(원문) "여주거간(麗主拒諫) 감행칭란(敢行稱亂) 아운신단(我運神斷) 아수아반(我帥我返) 천인협찬(天人協贊)."

(번역) "고려의 임금이 충간(忠諫)을 거부하고/감히 난(亂)을 일으키는지라/우리 태조께서 신성하신 결단을 내리시어/우리 군사를 송도로 회군(回軍)시키어시니/하늘과 사람이 함께 협조하도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3.1329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255, 257, 258, 298쪽
  • 『악학궤범용어총람』 송방송, 서울: 보고사, 2010년, 193쪽
  • 『國樂大事典』 張師勛,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4년, 44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