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문

희문

[ 熙文 ]

요약 현행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의 한 곡명.

1447년( 29)에 완성된 ""(保太平)의 악보는 『세종실록』 권138에 전한다. "보태평"의 선율은 세종 당시 (鼓吹樂)과 (鄕樂)의 곡조를 차용하여 창제됐다. 세종(1418~1450) 때 (會禮宴)에 연주되던 "보태평"은 (1455~1468) 으로 연주되도록 개작됐다. 그 악보는 『』(大樂後譜) 권2 (時用保太平譜)로 전한다.

세종 때 열성(列聖)의 문덕을 칭송한 ""(保太平之樂)의 11곡 중 첫 번째 곡인 "희문"의 악장은 5언(言) 1구(句)의 12구로 됐다. 세조 때 보태평을 종묘제례악으로 개작할 때 12구의 희문악장을 4구로 축소했고, 그 음악도 줄여서 개작됐다. 이 곡의 (樂調)는 청황종조(淸黃鍾調) (平調)로 됐다. 이 곡은 ""(定大業)의 첫곡인 ""(昭武)처럼 인입곡(引入曲)으로 쓰였다.

세종 때의 악곡은 『세종실록』 권138에 전하고, 세조 때의 그 악보는 『세조실록』 권48에 있다. (1469~1494) 때 (宗廟祭享)의 (初獻)에 "보태평지악"의 11곡 즉 "희문"·""(基命)·""(歸仁)·""(亨嘉)·""(輯寧)·"융화"(融化)·""(顯美)·""(龍光)·""(貞明)·""(大猶)·""(繹成)을 연주한다. 현행 5선악보는 『』 권11에 있다. 『』(樂學軌範 1493)에 나오는 희문의 악장은 이렇다.

"조상님의 크신 공덕 우리 후손 열어주사. 아아! 밝고 맑음이여, 그 얼굴 그 음성. 엄정하고 공손하게 제사 삼가 받드오니, 우리를 유호대 사(思)하야 성(成)한 이로 하샷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6.2527~28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256, 257, 297, 303쪽
  • 『악학궤범용어총람』 송방송, 서울: 보고사, 2010년, 43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