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영등굿

제주 영등굿

분류 교통/통신/지리 > 해양문화사전 > 해양민속 > 무속

음력 2월, 영등신에게 올리는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마을에서 행하는 당굿이지만, 그 마을의 수호신인 본향당신(本鄕堂神)이 아닌 영등신을 맞이하여, 어업과 해녀 채취물의 풍요를 비는 굿이다. 영등은 ‘연등(燃燈)’·‘영등(迎燈)’ 등의 한자표기가 보이나, 오늘날 민간에서는 ‘영등할망(영등할머니)’이라고 하여 여신으로 생각되고 있다. 영등신은 본래 ‘강남천자국’ 또는 ‘외눈박이섬〔一目人島〕’에 사는 신인데, 이 나라에서 매년 음력 2월 초하룻날에 제주도로 찾아왔다가 이 달 15일에 다시 본국으로 돌아간다고 한다. 제주도 동쪽 끝에 있는 우도로 들어와서 해변의 보말(고동류의 한 종류)을 잡아먹으며, 섬을 돌면서 바다에서 미역·전복·소라 등 해녀 채취물의 씨를 뿌려 번식시켜준다. 또, 어업이나 농업에도 풍요를 준 뒤 다시 소섬을 거쳐 본국으로 돌아간다고 전한다. ‘영등할망’이 찾아드는 이 기간에는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가서는 안 되며 빨래를 해서도 안 된다. 만일, 빨래를 해서 풀을 먹이면 집에 구더기가 번식한다고 한다. 제주도의 경우 이 신은 풍신의 성격도 다소 보이지만, 그보다도 해녀나 어부에게 풍요를 주는 내방신(來訪神)의 성격이 짙다. 영등신에 대?굿을 영등굿이라고 통칭하지만, 마을에 따라서는 2월 초하룻날에 이 신을 맞이하여 비는 굿을 ‘영등환영제’라 하고, 2월 12일에서 15일 사이의 어느 날에 이 신을 보내는 굿을 ‘영등송별제’라 한다. 또는 ‘영등손맞이’라 하여 이 기간의 어느 날을 정기적 제일로 정하여 한 번만 굿을 하는 곳도 있다. 영등굿이 행해진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오늘날의 영등굿은 마을에 따라 그 제차(祭次)가 다소 다르고 또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제의와도 차이가 있다. 가장 보편적이고 전형적인 영등굿은 다음과 같다. 굿하는 전날 잠수회·부녀회 등 여성단체의 간부들이 모여 떡을 만들고 제물을 준비한다. 비용은 각 가정에서 수렴하거나 공공기금으로 충당한다. 제일(祭日) 아침이 되면 제물이 당에 운반되고, 심방 5, 6명이 무구(巫具)를 가지고 당으로 온다. 제단에는 메·시루떡·도래떡·생선·야채류·과일류·계란·술·쌀·실·돈 등이 올려진다. 이 제단은 마을 전체의 기원을 위한 것이다. 이밖에 각 집에서는 자기집안의 축원용 제물을 마련하여 당으로 모여든다. 모여드는 순서대로 각 집안의 작은 상이 제단 앞에 열을 지어 놓인다. 제단의 진설(제상차림)이 끝나면 그 당의 매인 심방이 수심방이 되고 소미〔小巫〕 3명이 악기를 치면서 굿이 시작되는데, 다음과 같은 순서와 내용으로 전개된다.

① 큰대세움 : 신이 하강하는 길이라고 하는 긴 대를 제장에 세운다. 이 큰대에는 창호지로 만든 ‘기매’와 마을 어선들의 기가 달려 펄럭인다. 그리고 이 대에 긴 무명을 묶어 매어 제장에 연결시켜놓고 있는데, 이 줄을 신이 건너오는 ‘다리’라고 한다.
② 초감제 : 모든 신들을 청하여 모셔서 기원하는 기본형식의 의례이다. 정장한 수심방이 노래와 춤을 섞어가며 우주개벽으로부터 지리적·역사적 형성과정, 그리고 제장의 위치, 날짜, 굿을 하는 동기 등을 차례로 노래하고 모든 신을 청하여 모신다. 그래서 신들이 즐거이 하강하였는가 여부를 점쳐 신의를 전달한 뒤, 이장의 부인을 선두로 참가한 각 가정의 부녀자들을 차례로 배례(拜禮)시키며 복을 빌어준다.
③ 요(용)왕맞이 : 바다를 관장하는 요왕〔龍王〕과 영등신을 맞아들여 기원하는 제차이다. 초감제가 끝나면 잠시 쉬고, 제장 중앙에 6∼8개씩 2열로 대를 나란히 지면에 꽂아 요왕문〔龍王門〕을 설비한다. <후략>

<출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사진

제주 사계 영등할망 안내

제주 사계 영등할망 안내 해산물의 풍어를 가져다 주는 영등할망으로 매년 음력 2월 1일에 『영등손맞이』와 2월 14일의 『영등송별제』가 치러지는 영등굿이 있다. 국가지정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제주 사계 영등할망

제주 사계 영등할망 해산물의 풍어를 가져다 주는 영등할망으로 매년 음력 2월 1일에 『영등손맞이』와 2월 14일의 『영등송별제』가 치러지는 영등굿이 있다. 국가지정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제주의 영등굿은 온 마을 사람들이 당에 모여 지내는 무속적 마을 제사로, 동국여지승람, 동국세시에 영등굿 놀이에 대한 기록이 있다. 영등신은 일반적으로 영등할머니라고 부르는데, 음력 2월 1일에 들어와서 같은 달 15일에 나가는 신으로 알려져 있다. 영등신은 들어올 때 제주시 구좌읍 우도로 들어와 보말(고동류의 일종)을 까먹으며 제주의 해변을 도는데, 이때 미역씨·전복씨·소라씨 등을 뿌려 번식케 하고 떠난다고 전해진다. 따라서 2월 1일에는 영등환영제를 지내고, 지역에 따라 떠나는 시기가 다른데, 그 떠나는 시기에 맞추어 영등굿(영등송별제)을 벌인다.

제주 귀덕1리 영등신 안내

제주 귀덕1리 영등신 안내 제주의 영등굿은 온 마을 사람들이 당에 모여 지내는 무속적 마을 제사로, 동국여지승람, 동국세시에 영등굿 놀이에 대한 기록이 있다. 영등신은 일반적으로 영등할머니라고 부르는데, 음력 2월 1일에 들어와서 같은 달 15일에 나가는 신으로 알려져 있다. 영등신은 들어올 때 제주시 구좌읍 우도로 들어와 보말(고동류의 일종)을 까먹으며 제주의 해변을 도는데, 이때 미역씨·전복씨·소라씨 등을 뿌려 번식케 하고 떠난다고 전해진다. 따라서 2월 1일에는 영등환영제를 지내고, 지역에 따라 떠나는 시기가 다른데, 그 떠나는 시기에 맞추어 영등굿(영등송별제)을 벌인다.

제주 귀덕1리 영등신

제주 귀덕1리 영등신 해산물의 풍어를 가져다 주는 영등할망으로 매년 음력 2월 1일에 『영등손맞이』와 2월 14일의 『영등송별제』가 치러지는 영등굿이 있다. 국가지정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제주의 영등굿은 온 마을 사람들이 당에 모여 지내는 무속적 마을 제사로, 동국여지승람, 동국세시에 영등굿 놀이에 대한 기록이 있다. 영등신은 일반적으로 영등할머니라고 부르는데, 음력 2월 1일에 들어와서 같은 달 15일에 나가는 신으로 알려져 있다. 영등신은 들어올 때 제주시 구좌읍 우도로 들어와 보말(고동류의 일종)을 까먹으며 제주의 해변을 도는데, 이때 미역씨·전복씨·소라씨 등을 뿌려 번식케 하고 떠난다고 전해진다. 따라서 2월 1일에는 영등환영제를 지내고, 지역에 따라 떠나는 시기가 다른데, 그 떠나는 시기에 맞추어 영등굿(영등송별제)을 벌인다.

연관목차

1744/2347
종교
무속
제주 영등굿 지금 읽는 중
민요
유교
해양자원
자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