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용장성대 행궁지

진도 용장성대 행궁지

분류 교통/통신/지리 > 해양문화사전 > 해양사 > 해전사

용장산성은 배중손이 이끌던 삼별초가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여 항쟁을 벌였던 장소이다. 고려 고종 18년(1231)부터 침략해 오던 몽골과의 전쟁을 벌이기 위해 고려는 수도를 개경에서 강화로 옮겼다. 그리고 40여 년 동안 삼별초가 중심이 되어 몽골과의 전쟁을 벌였으나, 원종 11년(1270) 고려가 몽골에 항복을 하였다. 몽골에 대한 항복을 받아들일 수 없던 배중손을 비롯한 삼별초는 왕족인 승화후 온(承化候溫)을 왕으로 삼아 남쪽으로 내려와 이곳 진도에 궁궐과 성을 쌓고, 몽고에 패해서 제주도로 퇴각하기까지 약 9개월을 이곳을 거점으로 삼고 몽골과의 전쟁을 계속하였다. 성이 만들어진 연대가 확실하고, 고려의 왕실과 대립되는 궁궐이 만들어진 점에서 가치있는 유적이다. 용장성은 임회면 남동리에 있는 남도석성(南桃石城)과 함께 삼별초의 대몽항쟁의 유적지로 좋은 자료이며, 축성 연대가 확실하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이때 쌓은 성이 바로 용장성이다. 진도 동북방의 벽파 나루와 서낭산의 주변에 솟은 산지와 안부(鞍部)를 따라 연장 12km이상의 거대한 도성지가 있다. 용장리와 벽파리의 거의 전체를 감싼 고려 시대의 석축과 토축으로 된 나성(羅城) 형식의 산성으로, 현재 해발 264m의 용장산 좌우의 능선을 따라 약간씩의 석축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고, 성내에 용장사지(龍藏寺址)와 행궁지(行宮址)가 남아 있다. 성벽은 서벽이 망바위를 지나 토성으로 이어져 벽파진 북쪽의 바다에까지 닿아 있다.지금은 용장산 기슭에 약간의 성벽이 부분적으로 남아있으며, 성 안에는 용장사가 있던 절터와 궁궐의 자리가 남아있다. 용장성 안에는 성황산이 있는데, 이 산에도 산성을 쌓은 흔적이 보인다.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성의 둘레는 38741척(尺), 높이 5척이라 하였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현재 남아 있는 성의 길이는 군내면의 용장리와 세등리, 고군면의 도평리와 벽파리, 오류리를 잇는 산등성이를 따라 총 12.75Km이며 높이는 4m 내외이다. 삼별초가 오기 전에도 이곳에는 산성이 있었는데 명량해협과 벽파진의 거리적 중요성으로 보아 전부터 계속 성을 쌓고 보수해왔을 것으로 추측된다. 삼별초는 이러한 이점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 이곳에 거점을 마련한 것으로 생각된다. 용장리 산곡(山谷)의 상류에 가면 행궁터가 보인다. 이 곳에 는 여러 곳에 흩어진 돌무더기와 집터가 많은데 지금은 보수가 이루어졌으며, 그 주변에는 420m에 이르는 토성이 남아있다. 이 행궁터의 구조를 보면 개경 만월대의 구조와 비슷하다고 한다. 용장성 내에는 우물이 2개가 있었는데, 하나는 왕이 마셨다는 우물이다. 그러나 이 곳은 잡풀로 덮여 찾기 힘들고, 행궁터 입구의 우물은 아직도 물이 나와 마을 사람들이 길러다가 먹는다. 삼별초는 이곳에서 부서(部署)를 정하고 관부(官府)를 열었으며, 궁궐과 성곽을 쌓고 몽고 침략군과 개경 정부에 반기를 들고, 승화후 온(承和侯 溫)을 왕으로 추대하여 왕실과 대립되는 정권을 세웠다. 그러나 삼별초군은 제주도로 이동하였고, 이후 1350년 왜구의 침략이 극심하여지자 진도군 전체의 주민이 세종 초까지 육지로 피난하였기 때문에 용장성에 대한 기록은 보이지 않고 있다. 그 뒤 세종 초기에 다시 주민들이 귀향하게 됨으로써 기록이 보이게 되는데, 이에 의하면 성의 둘레는 3만 8,741척, 높이 5척이라 나와 있으나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석축된 성터는 자갈이 섞인 지면을 고른 다음 두께가 10cm로 얇은 판석을 깔고 큰돌을 되도록 아래에 축조하였다. 토성의 부분은 아랫부분의 너비가 약 3m이고, 높이가 2.1m의 규모로 남았으며, 자갈 섞인 흙과 잡석을 성심(城心)에 넣고, 판축처럼 다짐한 것이다. 행궁터라 부르는 건물터는 1989년에 발굴 조사되었다. 삼별초가 이곳을 사용하기 이전에 이미 불찰(佛刹)이 있었다고 여겨지며, 경사진 대지에 석축을 여러 단으로 구성하고 남북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랑을 가진 여러 개의 건물이 배치된 것이 마치 재경의 만월대와 유사한 구도를 이루고 있었다. 용장성 안에는 해발 215m의 성황산이 있으며, 이 산에도 산성을 축조한 흔적이 있다.

사진

진도 용장산성 전경

진도 용장산성 전경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에 위치한 고려시대의 산성이다. 배중손이 이끌던 삼별초가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여 항쟁을 벌였던 장소이다.

진도 용장산성 원경

진도 용장산성 원경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에 위치한 고려시대의 산성이다. 배중손이 이끌던 삼별초가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여 항쟁을 벌였던 장소이다.

진도 용장산성 노출 초석

진도 용장산성 노출 초석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에 위치한 고려시대의 산성의 노출 초석이다. 배중손이 이끌던 삼별초가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여 항쟁을 벌였던 장소이다.

진도 용장산성 고대 기단

진도 용장산성 고대 기단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에 위치한 고려시대의 산성의 고대 기단이다. 배중손이 이끌던 삼별초가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여 항쟁을 벌였던 장소이다.

진도 용장산성 건물지 초석

진도 용장산성 건물지 초석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에 위치한 고려시대의 산성의 건물지 초석이다. 배중손이 이끌던 삼별초가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여 항쟁을 벌였던 장소이다.

진도 용장사 근경

진도 용장사 근경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에 위치한 사찰인 용장사의 모습이다.

연관목차

76/2347
제주해역 전시실
해양문화사전
해양사
해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