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촌유적

조선향토대백과 유물유적정보관 : 유적

장촌유적

[ 張村遺跡 ]

분류 유물유적정보관>유적>주거 · 생산>주거유적
유물유적시대 신석기
행정구역 평양시>용성구역
등급 일반유물유적

평양시 용성구역 어은동 장촌부락에서 발굴된 신석기시대 집터유적. 1982년에 2개의 집터가 발굴되었다. 산릉선중턱에 17m 사이를 두고 1호집터와 2호집터가 있다. 길둥근모양의 반움집인 1호집터는 방향이 거의 북남선에 놓여있다. 남쪽 벽 중심바닥에는 길이 0.6m, 너비 0.65m인 통로가 잇달렸다. 집터 서쪽 거의 절반은 파괴되었고 지금 남아 있는 집터 움벽의 최대길이는 7m이다.

화덕터는 길이 1.55m, 너비 0.75m, 깊이 0.52m 정도인데 집터 중심에서 북쪽으로 치우쳐 동쪽 벽 중심으로부터 2.7m 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지금까지 나타난 신석기시대 집터인 경우에 화덕의 위치가 보통 동, 서 중심위치에서 나타나는 사정을 고려하면 이 집터의 동서 최대너비는 5.5m 정도였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움벽은 안으로 밋밋하게 경사가 졌고 가장 잘 남아 있는 움 북벽의 높이는 50~60cm이다. 움벽바닥은 진흙을 다지고 불에 구웠는데 바닥평면은 평평하다. 2호집터는 석비례 땅을 파고 지은 반움집이며 움의 평면형태는 모가 죽은 방형이다. 크기는 길이와 너비가 각각 4.3m이다. 집터 동쪽 벽 밖으로 길이 약 2m, 너비 0.8m 되는 홈이 집터바닥과 잇달려 있다. 이것은 집안으로 나들기 위한 통로이다. 집터 바닥은 복판이 변두리보다 약 10cm 정도 우묵하게 낮아졌다. 거기에 재가 수북히 쌓여 있는 것으로 보아 화덕터였다고 인정된다. 장촌유적의 2개 집터와 유물은 궁순문화 제4기의 문화연구에서 중요한 자료가 된다.

마지막 수정일

  • 2010. 12. 31.

【유의 사항】

  • ⓘ 본 콘텐츠는 1999~2005년 남북공동 편찬사업에 의해 발간된 자료로서,
    북한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북한 자료의 특수성으로 내용의 최신성이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점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